![]() |
[에너지경제신문 윤민영 기자]국토교통부는 수도권 내 안정적 주택 공급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공공택지 84만가구, 재개발·재건축 39만가구, 소규모 정비사업 등을 통해 4만가구 등 127만호주택을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공급한다고 13일 밝혔다.
올해 17만9000가구를 비롯해 2021년 20만1000가구, 2022년 19만5000가구 등 57만4000가구가 공급되고, 나머지 65만3000가구는 2023년 이후로 공급이 예정돼 있다.
지역별로 시울시에 36만4000가구, 인천에 15만1000가구, 경기도에 75만7000가구가 분배된다.
이중 서울시에 공급되는 36만4000가구는 공공택지를 통해 11만8000가구, 정비사업으로 20만6000가구, 기타 사업으로 4만가구가 공급된다.
서울 공공택지에서 나오는 물량을 지역별로 보면 동남권 4만1000가구, 서남권 1만9000가구, 서북권 2만6000가구, 동북권 2만5000가구 등이다.
동남권은 강동구가 1만4000가구로 가장 많고 강남구 1만3000가구, 송파구 8000가구, 서초구 6000가구 순이다.
구체적으로 고덕 강일 1만2000가구, 개포 구룡마을 2800가구, 서울 의료원 3000가구, 수서 역세권 2100가구, 옛 성동구치소 1300가구, 서초 염곡 1300가구, 사당역 복합환승센터 1200가구, 서초 성뒤마을 1000가구, 서울지방조달청 1000가구 등이다.
서남권에선 서남물재생센터 2400가구, 동작 환경지원센터 1900가구, 대방동 군부지 1600가구, 강서 군부지 1200가구, 영등포 쪽방촌 1200가구, 마곡 미매각부지 1200가구, 서부트럭터미널 1000가구 등이다.
서북권에는 용산 정비창 1만가구와 미군 캠프킴 3100가구, 서부면허시험장 3500가구, 수색 역세권 2100가구, 상암DMC 미매각 부지 2000가구, 서울역 북부역세권 500가구, 중구청사 부지 500가구 등이다.
동북권의 경우 태릉골프장 1만가구를 비롯해 광운 역세권 2800가구, 서울 양원 1400가구, 도봉성대야구장 1300가구, 북부간선도로 입체화 1000가구, 면목 행정복합타운 1000가구, 중랑 물재생센터 800가구가 확보됐다.
서울 공공택지를 통한 입주자 모집 물량은 올해 1만3000가구를 시작으로 내년 1만가구, 2022년 1만3000가구가 예정돼 있다. 올해는 고덕 강일, 수서역세권. 서울 양원 등 물량을 공급하고 내년에는 성동구치소, 강서 군부지 등이 계획돼 있다.
서울시에서 나오는 정비사업 물량 20만6000가구 중 기존 민간 정비사업에서 나오는 것이 11만6000가구이며 공공 재개발·재건축 물량은 9만가구다.
국토부는 127만가구 외에도 민간이 주택법, 도시개발법 등에 따라 직접 택지를 개발해 공급하는 주택물량도 연평균 4000~5000가구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