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될 것을 감안해 지금까지 전방위적으로 이뤄진 은행권의 지원 방식도 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취약 부분에 대한 지원을 축소하기보다는 기업의 경영 혁신을 유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의미다.
30일 은행권에 따르면 이 총재는 이달 22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은행장 간담회에 초청 인사로 참석해 "코로나19 사태가 지나가는 소나기인 줄 알았는데 장마의 시작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한다면 대응도 길게 보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금융권이 기업을 지원하는데도 지금처럼 전방위적 지원을 계속할 수 있는지, 접근 방식을 바꿔 지원할지 고민해야 할 때가 왔다"고 말했다.
이 총재의 이같은 발언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해 전방위적으로 기업을 지원하는 것을 넘어 기업이 경영 혁신을 꾀할 수 있도록 선별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현재까지는 정부와 한은의 유동성 공급을 통해 코로나19에도 경제 주체들이 어느 정도 버티고 있지만, 사태가 길어지면 은행의 중장기적 건전성 지표도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
이 총재는 선별적 지원 방식의 예시로 업종 변경 권고 등을 제시했다. 그는 "좀 더 창의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이 있을 텐데, 어려운 기업이 영업방식을 혁신적으로 바꾸면서 지원한다거나 거래은행이 업종 변경을 권고하는 등의 방안도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코로나19 지원 접근 방식의 변화가 지원을 축소하거나 지원 의지의 약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거듭 당부했다.
이 총재는 "아직은 가계와 기업에 대한 지원을 중단해서는 안 된다"는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말을 인용하며 "지원 자체는 지속돼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