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전지성 기자

jjs@ekn.kr

전지성 기자기자 기사모음




총선 참패에...미래통합당 보좌진 ‘구직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0.05.05 11:39

미래한국당 당선인 합동워크샵

▲미래한국당 원유철 대표가 29일 오전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미래한국당 국회의원 및 당선인 합동워크샵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

총선 참패로 미래통합당 의원 수가 84명으로 줄어들면서 보좌진들도 구직난에 시달리고 있다. 국회는 11일 국회사무처에 등록할 보좌진 신규 임용을 앞두고 있다.

5일 정치권에 따르면 4·15 총선에 불출마했거나 낙선한 통합당 현역 의원은 77명에 이른다. 이는 곧 77명 의원의 의정활동을 도운 약 700명의 보좌진이 채용시장에 내몰렸음을 뜻한다. 이들 보좌진이 미래한국당 당선인들에게 몰리는 경향이 뚜렷하다. 미래한국당 당선인 19명 중 18명이 초선인 만큼 의원 보좌 경험이 있는 이들에 대한 수요가 크기 때문이다.

미래한국당 의원실로 옮기려는 ‘청탁’도 이어지고 있다. 미래한국당 원유철 대표와 염동열 사무총장은 물론, 황교안 전 통합당 대표, 한선교 전 미래한국당 대표 등을 통해 이력서를 제출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들 인사가 미래한국당 당선인들의 공천 과정에서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미래한국당 윤주경·윤창현·이종성·전주혜·지성호·최승재·허은아 당선인 등 7명은 통합당이 영입한 인재들이다. 따라서 이들을 영입한 황교안 전 대표의 ‘추천장’은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비례대표 후보 순번 갈등 끝에 사퇴하기는 했으나, ‘한선교 체제’에서 당선권에 이름을 올린 이들도 있다. 한무경·조수진·조태용·신원식·김예지·이용 당선인 등이 이에 해당한다.

원유철 대표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구직을 희망하는 보좌진이 지원하는 상임위원회에 맞춰 각 비례대표 의원실에 알음알음 추천을 해주는 것은 사실"이라며 "수요는 적지만 공급이 넘쳐서 문제"라고 밝혔다.

통합당 출신 보좌진이 이번 총선에서 180석을 차지한 더불어민주당으로 건너가기도 쉽지 않은 실정이다.

민주당은 지난달 24일 윤호중 사무총장 명의의 ‘제21대 국회 보좌진 구성 안내’ 공문을 통해 의원들에게 ‘타당 출신 보좌진 임용 시 정밀 검증할 것’이라는 지침을 내린 바 있다.

공문에는 ‘정체성 및 해당 행위 전력을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 ‘이번 총선에서 민생당 일부 보좌진은 우리 당 후보 비방 및 네거티브로 해당 행위에 준하는 행위를 했다’, ‘통합당 보좌진의 경우 지난해 4월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국회에서 우리 당 보좌진과 물리적 충돌이 있었음을 양지하라’ 등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자유한국당보좌진협의회 회장 출신인 이종태 보좌관은 통화에서 "통합당 보좌진의 200명가량은 21대 국회에 못 들어올 것 같다"며 "제게 쌓인 이력서만 200개 정도 된다"고 밝혔다.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