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인호

sih31@ekn.kr

송인호기자 기사모음




김보라 안성시장, “이주민 2만명 시대...‘포용의 안성’ 강조”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1.19 02:21

원탁회의 ‘다문화 안성in’ 개최...이주민 현실·정착 과제 집중 논의

안성시

▲원탁회의 '다문화 안성in' 모습 제공=안성시

안성=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안성시가 '이주민 2만명 시대'를 맞아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본격적인 공론의 장을 열었다.


김보라 안성시장이 “다를 뿐, 모두가 안성 시민"임을 강조한 이번 원탁회의는 행정과 시민, 이주민 구성원이 함께 안성의 미래를 그렸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안성시시민활동통합지원단 공익활동지원센터와 안성이주민인권모임이 공동 주최한 지역이슈 원탁회의 '다(多)문화 안성in'이 지난 15일 개최됐다.




이날 행사에는 이주민 30여명을 포함해 시민·행정·교육기관 관계자 등 60여명이 참석해 '안성에서 살아가는 삶'과 '함께 성장할 방법'을 깊이 있게 논의했다.


안성의 총인구 20만 명 중 10%가 이주민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하듯, 이날 공론장은 다양한 목소리로 채워졌다.


20년 차 고려인 이주민부터 중도입국 학생, 결혼이민 여성까지 폭넓은 참여층이 공론장 테이블에 앉아 실제 생활의 어려움과 정책적 필요성을 솔직하게 쏟아냈다.




러시아 출신 고려인 최예브기니 씨는 “안성에는 고려인 공동체가 이미 뿌리를 내리고 있다"며 “부모의 나라로 돌아온 만큼 지역사회가 따뜻하게 포용해주길 바란다"고 말해 참석자들의 공감을 모았다.


중도입국 학생을 대표해 발언한 비룡중학교 학생은 언어 장벽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제기했다.


이 학생은 “학생마다 한국어 수준이 다르다 보니 상급학교 진학이 쉽지 않다"며 “우리에게 맞는 교육과정과 원어민 교사 확대가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이날 원탁회의는 나라·연령·상황별로 구성된 5개 모둠에서 퍼실리테이터가 참여자 의견을 면밀히 청취하고 전체 공유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모둠별 논의는 단순한 '경청'을 넘어 정책 수요를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실질적인 의견 수렴 절차로 평가됐다.


기조 발제를 맡은 정인교 안성이주민인권모임 대표는 “이주민도 세금을 내고 투표권을 가진 안성 시민"이라며 “인구의 10%를 차지하지만 이들을 지원하는 예산은 3%에도 미치지 못한다. 지금부터라도 정책과 예산 투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보라 시장은 이날 현장을 끝까지 함께 지키며 발언 하나하나에 귀를 기울였다.


김 시장은 이날 토론회에서 “오늘 나온 의견은 모두 절실하고 필요한 과제"라면서도 “정책을 늘리는 것보다 더 중요한 건 이주민을 '안성 시민'으로 받아들이는 사회적 분위기"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자리의 논의를 출발점으로, 앞으로 더 많은 소통과 점검을 통해 필요한 정책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원탁회의는 공익활동지원센터가 양성한 시민 퍼실리테이터가 진행을 맡아 '지속 가능한 논의 구조'를 마련했다는 평가도 이어졌다.


안성가족센터, 이주민지원센터, 안성교육지원청, 일선 학교 등 다양한 기관이 함께 참여한 만큼 △교육 △복지 △정착 지원 △문화 교류 등 분야별 협력 기반도 확대될 전망이다.


이번 공론장에서 수렴된 의견은 내년도 안성시 정책 반영을 목표로 추가 논의가 이어질 계획이다.


시는 정착 환경 개선, 언어·교육 지원 강화, 공동체 소통 프로그램 확대 등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이어지도록 행정·교육기관·시민사회가 함께 검토할 방침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