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세계 곳곳서 때이른 ‘북극 한파’ 가능성…“쳔연가스 가격·전기료 오를 수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1.10 11:49

‘북극 소용돌이’ 조기 약화 조짐…미국·아시아·유럽 영향권
美 천연가스 가격은 이미 고공행진…데이터센터 수요·한파로 더 치솟을듯

찬 바람에 기온 '뚝'... 쌀쌀한 출근길

▲밤사이 찬 공기가 내려와 기온이 뚝 떨어진 10일 서울 광화문역 인근에서 시민들이 출근길을 재촉하고 있다.

전국에 기온이 떨어지면서 강추위가 이어질 것으로 예보된 가운데, 이번 겨울 세계 곳곳에서 '북극 한파'가 빠르게 찾아올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10일 블룸버그통신은 “올 겨울 미국, 아시아와 유럽 일부 지역에서 극심한 한파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고 있다"며 “경제적 불확성과 인플레이션에 시달리는 소비자들에게 에너지 요금 상승 압력이 더해질 수 있다"고 보도했다.


기상학자들은 특히 이번 겨울에 '북극 소용돌이'(폴라 보텍스)가 머지않아 붕괴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하고 있다. 평소에는 강력한 제트기류가 소용돌이 형태로 북극에 갇혀 있어 차가운 공기가 중위도로 내려오지 못하지만, 이 구조가 무너지면 북극의 한기가 남하해 한파를 유발한다. 실제로 지난 3월 중순 우리나라를 덮친 이례적 한파와 폭설도 북극 소용돌이 붕괴의 영향이었다.




북극 성층권에서의 '돌연 승온(기온이 갑자기 오르는 현상)'이 북극 소용돌이 붕괴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성층권의 온도가 갑자기 상승하면 북극을 도는 제트기류가 약해지고, 그 결과 찬 공기가 남쪽으로 흘러내린다.


최근에는 약 28개월 주기로 방향이 바뀌는 '성층권 진동(QBO)'이 동풍으로 전환되면서 북극 제트기류의 변화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베리스크 대기·환경 연구소의 주다 코언 계절예보 책임자는 “현재 QBO가 동향으로 전환돼 북극 성층권 기온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는 궁극적으로 북극 소용돌이의 약화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성층권 돌연 승온이 작년보다 빠르게 발생하면 이번 겨울 시즌 전반적 날씨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영국 런던에 위치한 오픈웨더의 댄 하트 기상학자도 “12월로 접어들수록 북극 소용돌이에 주시해야 한다"고 블룸버그에 말했다.


미국에서는 이미 올 겨울이 작년보다 더 추울 것으로 예보된 상태다. 기상정보 제공업체 코모디티 웨더 그룹은 특히 태평양 북서부에서 뉴잉글랜드 중부에 이르는 북부 지역이 더 추워질 것으로 전망했다. 또 다른 기상예보 전문업체인 애큐웨더는 중서부와 북동부 지역에 더 많은 눈이 내릴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미 에너지정보청(EIA)는 올겨울 중서부 지역의 가스 난방비가 2%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남부 지역엔 난방용 전기요금이 약 4% 증가, 3년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확산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한 상황에서 북극 한파가 겹칠 경우, 천연가스와 전력 가격이 급등하며 소비자 부담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 천연가스 선물 가격은 이미 고공행진 중이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 따르면 지난 7일 천연가스 12월 인도분 선물 가격은 MMBtu당 4.32달러에 거래를 마감해 1달 전 종가(10월 7일·3.5달러) 대비 23% 가량 급등했다. 지난해 11월 초반엔 미국 천연가스 가격은 2.6~2.8달러 수준에 불과했다.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에서도 한파가 예상된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모건스탠리의 잭 루 애널리스트는 최근 투자노트를 통해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낮아지는 라니냐 현상으로 중국 많은 지역에 한파가 발생해 천연가스가 부족할 위험이 있다"며 “그 결과 천연가스 소비는 물론 도매 및 소매 가격도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중국 기상당국도 남부와 북동부 지역의 기온이 평년보다 낮을 것으로 예보했다.


뉴질랜드 정보제공 업체인 메트서비스의 엠마 블레이즈는 일본 남부와 동해 연안 지역에 한파와 폭실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유럽에서도 북극 소용돌이 붕괴로 북부와 중부 지역에 잦은 한파가 찾아올 것으로 전망됐다. 전 세계에서 신뢰도가 높다고 평가된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의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이달과 12월 북극 상층 대기에서 부는 바람이 평년보다 현저히 약해질 것으로 나타났다.


스위스 기상분석업체 메테오매틱스의 롭 허치슨 기상학자는 “올 겨울 북극 소용돌이가 무너질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며 “붕괴 시점과 위치에 따라 실제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화요일인 11일 기온이 더욱 떨어지면서 강추위가 찾아올 전망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11일 아침 최저기온은 영하 2도에서 영상 7도로 예보됐다. 낮 최고기온은 0~18도로 예상된다.


기온은 수요일인 12일 아침까지 평년보다 낮은 수준에 머무르다 12일 낮부터 평년 수준을 회복할 전망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