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은지

elegance44@ekn.kr

김은지기자 기사모음




CTX 민자적격성 통과…행정수도 세종 광역철도, 2028년 착공 향해 속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1.04 15:51

4일 민자적격성조사 통과…대전–세종–청주 30분 시대 ‘가시권’

GTX-A 운행시작

▲GTX-A 운행시작.(제공=연합뉴스)

세종=에너지경제신문 김은지 기자 충청권 광역철도망의 핵심축으로 꼽히는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가 민자적격성조사를 통과하며 사업 추진이 본격 궤도에 올랐다. 5조 원 규모의 광역철도 사업이 첫 관문을 통과함에 따라, 행정수도 세종을 뒷받침할 광역철도 기반 구축이 본격화되는 단계에 진입했다.


세종시는 4일 기획재정부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 결과,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가 민간투자 방식 추진이 타당한 사업성을 확보해 2028년 착공 목표가 현실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5월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조사에 착수한 지 약 1년 6개월 만이다.


민자적격성 통과는 단순 절차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정부가 해당 사업을 민간재원 투입이 가능한 국가 교통 인프라 사업으로 공식 인정했다는 뜻으로, 향후 속도와 방향을 좌우할 '분기점'으로 평가된다.




총사업비 약 5조 원이 투입되는 CTX는 대전정부청사–세종정부청사–청주국제공항 총 64.4㎞ 구간을 운행하는 광역철도 사업이다. 개통 시 대전·세종·청주가 30분대 통합 생활권으로 묶이며 충청권 광역교통망의 핵심 동맥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존 경부선을 활용해 서울역–조치원역–세종정부청사–대전정부청사를 잇는 수도권–세종 직결 열차 운행 구상도 함께 추진된다. 이는 대통령 제2집무실, 국회 세종의사당 시대에 대비해 세종의 국가 행정 접근성을 강화할 핵심 교통축이 될 전망이다.


세종시는 이번 조사 통과를 위해 국토교통부와 협력하며 정책성과 사업성을 적극 설득해왔다. 시는 평가 과정에서 행정수도 기능 지원, 충청권 균형발전, 국가 공공기관 접근성 개선 필요성 등을 강조한 것이 통과의 배경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향후에는 제3자 제안공고–우선협상대상자 선정–실시협약 체결 등 민간투자사업 절차가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세종시는 후속 절차가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국토교통부와 협력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최민호 시장은 “CTX는 행정수도 세종과 충청권을 하나의 생활·경제권으로 연결할 미래 성장축이자 국가균형발전의 핵심 기반시설"이라며 “세종시민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지역민이 체감하는 광역철도, 충청권이 함께 누리는 철도가 되도록 국토교통부와 긴밀히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