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정자문위 “김포시의회 의정활동 결과 적극 공유 필요"
▲김포시의회 10월31일 '2025년 제2차 의정자문위원회 간담회' 개최. 제공=김포시의회
김포=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김포시의회가 '2025년 제2차 의정자문위원회 간담회'를 지난달 31일 김포시 맑은물사업본부 2층 회의실에서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는 의정자문위원회 위원과 김포시시의원이 한자리에 모여 실질적인 의정 발전을 위한 자문과 의견 교류를 위해 마련됐다.
참석자는 김포시의회 회기 운영 성과를 비롯해 의원연구단체 활동, 의원행동강령 운영 현황 등 의정 전반과 주요 내용을 공유하고 향후 의정활동 방향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의정자문위원들은 행정-복지-교통-문화 등 시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를 중심으로 실효성 있는 정책 제안을 전달하며 의정에 다양한 시민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도록 자문에 적극 응했다.
특히 김포시의회는 의정활동 전반을 더 적극적으로 공유해 달라고 요청하며 자문 역할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상호 소통 강화를 강조했다.
김포시의회는 이번 간담회에서 나온 자문위원회 의견을 바탕으로 시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한 실천적 의정활동의 기반을 더욱 공고히 확립한다는 방침이다.
김종혁 의장은 “시민과 가까운 의정을 실현하기 위해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 경청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의정자문위원회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실효성 있는 정책을 지속 발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포시의회 10월31일 '2025년 제2차 의정자문위원회 간담회' 개최. 제공=김포시의회
의정자문위원회 위원들은 이에 대해 “책임 있는 의정활동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자문과 협력에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며 “의정자문위원들과 소통이 더욱 강화되기를 기대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편 간담회 이후 자문위원들은 맑은물사업본부 내 위치한 한가람물빛체험관과 정수시설을 견학하며 민생과 밀접한 기반시설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시간을 가졌다.
◆ 조성대 남양주시의장 “남양酒 캠핑은 남양주형 감성축제"
▲조성대 남양주시의회 의장 1일 '2025년 남양酒 캠핑 페스티벌' 개막식 축사 발표. 제공=남양주시의회
남양주=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남양주시의회는 지난 1일 수동면 몽골문화촌에서 열린 '2025년 남양酒 캠핑 페스티벌' 개막식에 참석해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했다.
이번 축제는 감성캠핑과 지역 프리미엄 주류를 함께 즐길 수 있는 차별화된 축제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감성ON 일상OFF'라는 슬로건 아래 수동 가족쉼터 및 몽골문화촌에서 1일과 2일 이틀 동안 열렸다.
몽골문화촌 내 노마딕드림홀에서 열린 개막식에는 남양주시의회 조성대 의장을 비롯해 한근수-박윤옥-김동훈-전혜연 의원, 시민 등이 참석했으며, 칵테일쇼 개막 퍼포먼스를 시작으로 내빈 소개, 축사, 팬텀싱어3 길병민의 축하공연 순으로 진행됐다.
조성대 의장은 축사를 통해 “이번 축제는 남양주에서 처음으로 '캠핑'과 결합해 열린 복합문화축제로 캠핑과 먹거리, 공연, 체험이 어우러진 남양주만의 감성 축제"라고 말했다.
또한 “저는 남양주의 천혜 자연환경을 문화와 관광으로 연결해 365일 시민이 좋은 공기, 좋은 물과 함께 좋은 시설을 즐길 수 있는 축제가 많이 열리길 바라고 있으며, 오늘 이 축제가 그 첫걸음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남양주시의회 1일 '2025년 남양酒 캠핑 페스티벌' 개막식 참석. 제공=남양주시의회
이어 “시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경제를 살리는 현장 중심 축제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남양주시의회도 아낌없이 응원하고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남양酒 캠핑 페스티벌은 △1박2일 감성캠핑 △위스키 증류소 투어 △위스키-맥주 클래스 △무료공연-체험부스-플리마켓 등 가족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도록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 남양주시의회, 2025 남양주시의장기 드론대회 첫 개최
▲남양주시의회 1일 2025년 제7회 남양주시의회 의장기 드론대회 개최. 제공=남양주시의회
남양주=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남양주시의회는 지난 1일 남양주체육문화센터 게이트볼장에서 2025년 제7회 남양주시의회 의장기 드론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남양주시의회-남양주시체육회가 주최하고 남양주시드론항공협회가 주관한 이번 대회는 드론의 저변 확대와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해 마련됐으며,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위한 대회로 제7회 남양주시의회 의장기 체육대회에서 올해 처음으로 선정됐다.
이날 개회식에는 남양주시의회 조성대 의장-이진환 운영위원장-한근수 자치행정위원장, 홍지선 남양주시 부시장, 박준진 남양주시 드론항공협회 회장 및 임원진 등이 참석했으며 △내빈 소개 △개식 선언 △대회사 및 의장상 표창 △환영사, 축사, 격려사 △기념 촬영 순으로 진행됐다.
조성대 의장은 대회사에서 “드론은 이제 단순한 취미나 스포츠를 넘어 미래 산업을 선도할 핵심 기술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긴급 상황에선 사람 생명을 구하는 역할도 톡톡히 해내는 등 드론의 신속한 대응이 재난 현장에서 큰 힘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오늘 특별히 장애인복지관 친구들이 준비한 드론축구도 시범경기로 펼쳐질 예정인데, 이 경기는 세대와 장애의 벽을 넘어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스포츠임을 보여줄 것이며, 오늘 대회에 참가한 선수 모두가 훗날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드론 전문가로 성장하길 진심으로 응원한다"고 격려와 응원 메시지를 건넸다.
◆ 남양주시의회, 2025 남양주시의장기 검도대회 첫 개최
▲남양주시의회 1일 2025년 제7회 남양주시의회 의장기 검도대회 개최. 제공=남양주시의회
남양주=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남양주시의회는 2025년 제7회 남양주시의회 의장기 검도대회를 지난 1일 금곡실내체육관에서 성황리에 개최했다.
남양주시의회-남양주시체육회가 주최하고 남양주시검도회가 주관한 이번 대회는 검도 동호인의 기량 향상과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해 마련됐으며, 관내 7개 도장 선수가 참가해 △초등부(단체전) △중-고등부(개인전, 단체전) △일반부(개인전, 단체전) 등 다양한 종목에서 갈고닦은 기량을 마음껏 발휘했다.
이날 개회식에는 남양주시의회 조성대 의장-한근수 자치행정위원장, 김근식 남양주시 검도회장 및 임원진 등이 참석했으며 △내빈 소개 △개식 선언 △대회사 및 의장상 표창 △환영사, 축사, 격려사 △기념촬영 순으로 진행됐다.
조성대 의장은 대회사에서 “이번 대회는 의장기 체육대회 종목으로 검도가 처음 선정된 뜻깊은 자리이며, 이 대회를 통해 남양주 검도의 저변이 한층 확대되고 많은 시민이 검도 매력을 느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 선수들이 휘두르는 검에는 인내와 집중, 그리고 자신을 단련하는 과정이 담겨 있으므로, 오늘의 시합이 자신을 성장시키는 값진 경험이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 최찬규 안산시의원 '무장애 도시 조성' 제정 간담회 개최
▲최찬규 안산시의회 의원. 제공=안산시의회
안산=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최찬규 안산시의회 의원은 '안산시 무장애 도시 조성 조례안' 제정을 위한 정책간담회를 지난달 31일 시의회 대회의실에서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는 안산시민이 이용하는 공공시설물에 대한 이동-접근권을 높이고 불편 없는 생활환경을 조성에 필요한 의견을 듣고 조례안 세부 내용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간담회에는 최찬규 시의원을 비롯해 안산시 장애인복지과-공원과-녹지과 등 10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는 공원-공공건물 등에 무장애 시설 도입을 위한 설치 사례 및 현황 등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으며 무장애 도시 조성은 앞으로 도시 계획에 반영해야 할 주요 과제라며 조례 제정 취지에 공감했다.
최찬규 시의원은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 대상 시설뿐 아니라 시민이 자주 사용하는 공공시설을 이용-접근하기 편리하도록 실무부서는 기획 단계에서부터 신경써 달라고 요청했다.
▲최찬규 안산시의회 의원 10월31일 '안산시 무장애 도시 조성 조례안' 제정 정책간담회 개최. 제공=안산시의회
최찬규 시의원은 3일 “이번 간담회는 시민 민원을 통해 문제점이 발견돼 입법활동으로 이어졋다"며 “오늘 간담회에서 나온 의견을 반영해 시민이 불편 없는 생활환경을 조성하는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고 실현 가능한 조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안산시 무장애 도시 조성 조례안 심의 의결은 이달 중 열릴 제300회 제2차 정례회에서 실시될 예정이다.
◆ 허원구 “안양시 컨트롤타워 부서 신설로 신뢰 회복해라"
▲안양시의회 청사 전경. 제공=안양시의회
안양=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비산노인복지관 개관 지연 사태는 안양시 행정의 한계를 드러낸 상징적인 사건이다. 복지, 건축, 회계, 도시 관련 부서가 각각 제 역할을 수행했는데도 를 종합적으로 조정할 컨트롤타워 부서가 존재하지 않았던 점이 문제 핵심이다.
결과적으로 완공된 비산노인복지관은 완공 1년이 지나도록 개관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런 과정에서 시민은 오랜 불편을 감수해야 했고, 안양시 행정에 대한 신뢰는 크게 흔들렸다.
허원구 안양시의회 의원은 그동안 5분 자유발언과 여러 차례 매체 기고를 통해 “부서 간 협업 부재는 행정 실패의 근본 원인"이라며 “조직 간 조정기능을 수행할 컨트롤타워 부서 신설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런 지적은 단순한 비판이 아니라 행정 시스템의 구조적 개혁을 요구하는 실질적 제안이다. 이에 대해 최대호 안양시장은 “비산노인복지관 사태와 같은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며 컨트롤타워 부서를 신설하겠다고 공식 약속했다.
이는 안양시장과 안양시의회가 행정 책임의 방향성에 공감하며 신뢰 회복을 위한 새로운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최근 발표된 2025년 행정기구 개편안에는 해당 내용이 반영되지 않았다. AI전략국과 같은 기술 중심 부서는 신설됐지만 부서 간 협업과 조정을 총괄할 조직은 여전히 존재하지 않는다.
허원구 시의원은 이에 대해 행정 혁신은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구조의 문제다. 시민이 체감하는 행정개혁은 AI가 아니라 '조정과 연결의 행정'에서 출발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금 안양시에는 보여주기식 조직개편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부서 간 협업을 총괄할 '정책총괄조정실' 또는 '공공시설추진단'이 필요하다며 이 부서는 복지관-체육관-도서관 등 여러 부서가 얽힌 공공시설 설계부터 준공, BF인증, 개관까지 전 과정을 통합-관리하고, 행정 공백을 방지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고 역설했다.
허원구 의원은 3일 “이제 안양시장이 약속을 행동으로 옮겨야 할 때다. 컨트롤타워 부서 신설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다. 시민과 신뢰를 되찾기 위한 책무이며, 안양시 행정이 다시 태어나는 개혁 출발점이다. 약속을 지키는 행정만이 신뢰를 만들고, 그 신뢰가 곧 안양시의 미래를 지탱한다"고 역설했다.




![[이슈 따라잡기] SMR, 잠수함 원자로, 토륨원전은 어떻게 다른가](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04.4c909fac6f054ee989c3b6694e62fe05_T1.jpg)
![[AI와 송전망 딜레마 中] 文·尹도 못했는데 李는 할까…관건은 ‘주민수용성’](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05.3c2998e9172e44b0a8881ab6d435633c_T1.png)
![[김유승의 부동산뷰]10·15 대책 ‘풍선효과’ 뚜렷…“집값 떨어지던 인천까지 들썩”](http://www.ekn.kr/mnt/thum/202511/my-p.v1.20251104.d4ff910ad4a84f939497f91488c0199f_T1.png)


![[EE칼럼] 전력시장 자율규제기관 독립화 담론, 개혁인가 성역 강화인가](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401.785289562a234124a8e3d86069d38428_T1.jpg)
![[EE칼럼] 덴마크, 시민들이 만든 행복한 재생에너지 강국](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03.ce47c76617544c63af90401ba296a333_T1.jpg)
![[김병헌의 체인지] APEC, 한국의 외교적 주도권과 실질 성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625.3530431822ff48bda2856b497695650a_T1.jpg)
![[이슈&인사이트] 최민희와 캄보디아](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50326.21b3bdc478e14ac2bfa553af02d35e18_T1.jpg)

![[기자의 눈] 적자 기업만 떠본 예비입찰…홈플러스, 농협만 바라보는 신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04.11b40a5b6cc0484487b11bc212f418fa_T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