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로고.
내년 지방선거를 8개월 앞두고 부산 지역 16개구·군의 기초단체장에 도전장을 내는 여야 후보군들을 살펴본다. 먼저, 내년 지선 때 부산 전체 선거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뇌관으로 부상하는 서부산권을 살펴본다. <편집자주>
부산=에너지경제신문 조탁만 기자 서부산권은 '낙동강 벨트'로 불리는 북·사상·사하·강서구로, 보수세가 유독 강한 부산에서 그나마 민주당의 강세를 기대할 수 있는 지역으로 꼽힌다.
지난 조기 대선 때 부산 지역 16개 구·군 중 유일하게 강서구에선 득표 우위를 점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지선을 앞두고 북·사상·사하·강서구에선 구청장들의 사법리스크와 비위와 같은 구설이 집중돼 있다.
민주당은 내년 지선서 부산 민심의 반등을 꾀할 수 있는 전략적 지역으로 삼는다. 이와 달리 국민의힘은 골머리를 앓고 있는 분위기다. 북·사하·강서구의 구청장들이 재판을 받고 있는 가운데 최근 사상구청장의 '관내 재개발 주택 매입 논란'이 사그라지지 않고 되레 확산되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사상구에서는 국민의힘 조병길 사상구청장이 재선 도전에 나섰다. 그 와중에 사상구 내 재개발 구역에 포함된 주택을 매입한 사실이 드러나 구청장 지위를 이용해 시세 차익을 노린 게 아니냐는 구설에 휩싸였다.
민주당은 이 틈을 파고 들었다. 조 청장이 직무상 이해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따지기 위해 국민권익위원회에 조사를 청구했다. 이어 '공직자 비위 대응 특별위원회'를 구성, 법적 대응도 예고했다.
국민의힘도 비상이 걸렸다. 국민의힘 중앙당 윤리위원회는 조사에 착수했다. 공천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당협위원장인 김대식 의원은 조 청장을 불러 들여 경위 파악에 나섰고 질책했다.
이런 가운데 여야 후보군들에 관심이 집중된다. 민주당에선 서태경 지역위원장을 비롯, 김대근 전 구청장, 김부민 전 시의회 의원이 거론된다.
국민의힘에선 고(故) 장제원 전 국민의힘 의원의 측근 인사인 서복현 교수와 윤태한·김창석 시의원이 부상했다. 서 교수는 고 장 전 의원의 정치적 지지 기반인 '여원산악회'의 세를 업고 있다. 윤 의원은 최근 조직 관리에 들어갔다. 고 장 전 의원의 정무 보좌 역할을 한 김 의원은 초선 의원으로서 자치발전대상 광역부문 수상을 할 만큼 의정 활동이 활발하다. 다만 김 의원은 조 청장의 비위 의혹이 일파만파 커지면서 과거 음주 운전과 농산물품질관리법 위반 등 이력이 그의 행보에 제동을 걸 수 있다.
북·사하·강서구서도 사상구와 상황이 비슷하다. 국민의힘 소속 오태원 북구청장·이갑준 사하구청장·김형찬 강서구청장 모두 재판이 진행 중이다. 이들 중 오 청장과 이 청장은 1심서 당선무효형을 선고 받았다.
그럼에도 현역 구청장들의 재선 도전이 예상되는 가운데 북구에선 국민의힘 소속 손상용 전 시의원과 박종률 시의원, 민주당 소속 정명희 전 북구청장과 노기섭 전 시의원이 각각 거론된다.
사하구에선 이갑준 구청장의 불출마설이 나오는 가운데 국민의힘 소속 김척수 전 당협위원장과 함께 이복조 시의원도 이름이 오르내린다. 김 전 위원장은 지난 총선 때 이성권 현 당협위원장과 공천 갈등을 빚다 지지로 선회하며 당선에 기여한 바 있다. 민주당에선 최인호 전 의원의 측근 인사로 구분되는 전원석 시의원이 거론된다. 김태석 전 구청장도 하마평이 나오고 있으나, 정작 본인이 출마 의지가 없는 것으로 지역에서 전해진다.
강서구에선 김도읍 당협위원장의 신임을 받고 있는 김형찬 구청장이 재선 채비 중이다. 선거법 위반 혐의를 받고 1·2심서 벌금 80만원을 선고 받으며 당선무효형 위기는 벗어난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민주당에선 변성완 지역위원장과 유대관계가 두터운 박상준 구의원이 나선다. 박 의원은 여야를 막론하고 지역민들과 스킨십이 강하다는 평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