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 받치는 부담 커져, 목·어깨 통증·피로감
C자 목뼈 곡선 펴지면서 꾸부정한 자세 초래
장시간 이동하며 화면 '시선 고정' 절대 금물

버스나 지하철에서 보면 자신의 스마트폰을 보면서 뉴스나 동영상을 시청하고, 업무까지 진행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처럼 생활의 필수품이 되어버린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하면 목 건강을 해치고, 통증에 시달릴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아기는 태어나서 처음에는 네 발로 기어 다니고, 이 시기에 고개는 보통 숙여진 상태로 땅을 보고 다닌다. 하지만 생후 3개월이 지나면 목을 들면서 목 가누기를 한다. 우리 몸은 이때부터 척추 만곡(곡선)을 이루고, 목은 C자의 반대 형태를 이룬다. 이래야 전방에 장애물을 잘 확인할 수 있고 목을 들어 하늘도 볼 수 있다.
분당제생병원 척추센터 박종혁 과장(신경외과)은 “앉거나 서서 스마트폰을 볼 때 대부분 시선은 스마트폰의 화면을 향하고, 자연스럽게 고개를 숙이게 된다"면서 “고개를 오래 숙이고 있으면 뒷목에 긴장을 주고, 이는 통증으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목은 머리를 받치는 기관인데 머리는 몸에서 부피는 작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와 무게를 가지고 있다. 인류는 직립보행을 하면서부터 머리를 최대한 고개를 들어 뒤쪽으로 위치시켜 가슴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진화해왔다.

▲고개를 숙이는 각도에 따라 목 디스크에 걸리는 압박 정도. 출처=질병관리청 건강정보포털
이는 흉추와 요추로 상체와 머리의 무게를 분산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목에 적은 부담을 주게 되는데, 우리가 목을 숙여 스마트폰을 보게 되면 상대적으로 머리의 무게가 상체 앞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목이 떠받치는 머리의 무게는 거의 두세 배 이상이 된다.
척추센터 박종혁 과장은 “스마트폰을 보는 행위는 상대적으로 앞에 위치한 머리의 무게를 목의 후방 근육이 경추와 머리를 당겨주어 지탱하게 되고 이러한 시간이 길어질수록 목의 후방 근육의 긴장과 피로도가 증가하고, 다시 원래의 위치로 머리와 목이 돌아와도 통증과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고 설명했다.
거북목증후군은 거북이의 움츠린 목의 자세라 하여 태초 인류의 자연스러운 C자형 곡선의 반대로 형성되는 곡선이고, 역C자형 곡선 또는 거북목 증후군이라고 불린다.
박 과장에 따르면, 거북목 증후군이 되면, 머리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앞으로 이동하고, 이러한 머리를 떠받치기 위한 목의 후방 근육의 긴장과 힘이 증가한다. 따라서, 앉아서 책을 보거나 서서 걸어 다니기만 해도 목이 피곤하고, 통증이 올 수 있다.
거북목증후군이 발생하는 중요한 원인은 스마트폰을 보는 것과 같이 고개를 숙이고 생활하는 습관과 자세가 고착화되면서 발생한다. 박 과정은 “따라서 올바른 자세와 습관이 중요하고, 거북목증후군이 시작되었거나 목 통증이 발생하였다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을 추천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