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공=세종시)
세종=에너지경제신문 김은지 기자 세종시는 오는 10월 1일부터 대중교통 월 정액권 '이응패스'와 지역화폐 '여민전'을 결합한 '이응패스·여민전 통합카드'를 정식 선보인다. 교통비 환급과 지역화폐 캐시백을 동시에 제공해 시민들의 생활 편의성이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24일 시에 따르면, 성인은 월 2만 원으로 최대 5만 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고, 청소년·어르신·장애인은 무료 이용과 함께 월 최대 5만 원 환급 혜택이 유지된다. 적용 범위도 동일하다. 세종시 BRT·시내버스를 비롯해 대전·청주·천안·공주·계룡 지역의 버스와 지하철, 공영자전거 어울링까지 이용 가능하다.
또한 케이(K)패스와의 중복 적용도 가능해, 통합카드를 양쪽 앱에 등록하면 추가 환급을 받을 수 있다.
지역화폐 '여민전' 기능도 함께 담겼다. 통합카드로 여민전 가맹점에서 결제 시 즉시 캐시백이 적립되며, 대형 유통업종 일부는 사용이 제한된다.
통합카드는 신한·농협·하나카드를 통해 발급된다. 카드사별 발급 조건이 다르며, 신청 시 여민전 앱 가입이 필수다. 신한·농협은 만 14세 이상, 하나는 만 19세 이상부터 신청할 수 있다. 농협·하나카드는 은행 창구에서도 발급이 가능하다.
기존 카드도 계속 사용할 수 있지만, 동일 카드사에서 통합카드를 새로 발급하려면 기존 여민전 카드를 해지해야 한다. 교통비 환급과 캐시백은 여전히 별도 정산되며, 이응패스 앱과 여민전 앱도 각각 운영된다.
출시를 기념해 카드사별 이벤트도 준비됐다. 오는 10월 9~11일 세종한글축제 기간 동안 새 통합카드로 세종 대중교통을 이용한 시민 중 각 40명을 추첨해 여민전 5만 포인트를 지급한다.
또한 10월 24일, 11월 28일, 12월 26일 '세종사랑 대중교통의 날'에는 카드사별 20명을 뽑아 동일한 혜택을 제공한다.
이승원 경제부시장은 “이응패스와 여민전을 한 장으로 통합해 시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생활과 밀접한 교통·편의 정책을 꾸준히 발굴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