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인호

sih31@ekn.kr

송인호기자 기사모음




경기도, 1인가구 177만 돌파…5년 연속 전국 최다 규모 유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9.24 08:45

월평균 소득 200만원 미만 45.7%…66.7%는 60㎡ 이하 주거

경기도

▲제공=경기도

경기=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경기도의 1인가구 수가 177만 가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내 전체 가구의 31.7%를 차지하는 규모로 2020년부터 5년 연속 전국 최다를 기록하고 있다.


도는 24일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여성가족부 가족실태조사, 경기도 사회조사 등 6종의 자료를 종합해 '2025 경기도 1인가구 통계'를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경기도 1인가구는 전년보다 6만 가구 늘어난 177만 가구로 집계됐으며 이는 전국 1인가구 799만 가구 가운데 22.1%가 도내에 거주하는 셈이다.


시군별로는 수원(10.4%), 성남(7.6%), 고양(7.3%), 화성(7.0%), 용인(6.2%) 등 인구 상위 5개 시에 집중됐다.




전체 가구 대비 1인가구 비율이 높은 지역은 가평(39.4%), 연천(38.9%), 동두천(38.0%) 순이었으며 과천(17.4%), 의왕(23.8%), 남양주(25.8%) 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소득 수준은 낮은 편으로 1인가구 월평균 가구소득은 100만 원 미만이 26.0%로 가장 많았으며 200만 원 미만으로 범위를 넓히면 전체의 45.7%를 차지했다.


200만~300만원은 22.3%, 300만~400만원은 16.6%였고 500만원 이상은 8.6%에 그쳤으며 도내 전체 가구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저소득층 비율이 높음을 보여준다.


주거 여건도 열악해 도내 1인가구의 66.7%가 60㎡ 이하의 공간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구체적으로는 40~60㎡ 이하(36.0%), 20~40㎡(25.5%), 60~85㎡(23.9%) 순이었다.


건강 상태에 대한 자기평가도 전체 가구 대비 부정적 인식이 두드러져 1인가구의 45.7%가 건강이 '좋다'고 응답했지만 '나쁘다'고 답한 비율이 20.1%에 달했다.


이는 도 전체 가구 응답(좋다 52.1%, 나쁘다 11.7%)보다 부정적인 비율이 높았다.


윤영미 경기도 여성가족국장은 “이번 통계는 도내 1인가구의 삶을 다각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이라며 “앞으로 관련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1인가구 증가세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2025년 경기도 1인가구 지원 시행계획'을 마련, 총 9615억원을 투입하며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 자유주제 제안사업 등 41개 과제를 추진해 생활 안정과 복지 체감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