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철훈

kch0054@ekn.kr

김철훈기자 기사모음




셀트리온, 일라이릴리 美 생산공장 인수…“선제 투자로 기회 확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9.23 14:41

조지아주 생산공장 인수 본계약 체결…인수대금 4600억

초기운영비 포함 총 7천억 투자…추가 증설 부지도 확보

서정진 “관세 리스크는 상수…현지공장 없는 경쟁사 도태”

셀트리온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이 23일 일라이릴리 미국 생산시설 인수계약 체결 관련 온라인 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셀트리온 유튜브 채널 캡처

셀트리온이 일라이릴리의 미국 조지아주 의약품 생산공장 인수 과정에서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에 이어 본계약 체결까지 성사시켰다.


이로써 셀트리온은 미국 의약품 관세 리스크를 완전히 해소했을 뿐 아니라 미국 현지에 생산시설이 없는 제약사들의 위탁생산(CMO) 물량을 수주할 수 있는 기회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셀트리온은 일라이릴리와 4600억원 규모의 미국 뉴저지주 브랜치버그 소재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인수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인수 예정인 브랜치버그 공장은 14만8760㎡(약 4만 5000평) 부지에 생산시설, 물류창고, 기술지원동, 운영동 등 총 4개 건물이 갖춰진 대규모 캠퍼스다. 캐파(생산용량) 증설을 위한 약 1만 1000평 규모의 유휴부지도 보유하고 있어 향후 확장을 통한 시장 수요 증가에도 대응이 가능하다.


셀트리온은 인수대금 4600억원을 포함해 초기운영비 등 총 7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향후 유휴부지에 생산시설을 증설하면 추가로 최소 7000억원을 투자, 이번 공장 인수와 증설에만 최소 1조4000억원의 투자를 진행할 계획이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이날 온라인 간담회를 갖고 이번 본계약 체결과 향후 사업계획을 소개했다.


서 회장은 “이번 본 계약 체결로 미국 의약품 관세 불확실성은 완전히 해소됐다"며 “올해 말까지 미국 정부 승인을 완료해 내년 회계연도부터 셀트리온의 연결회사로 편입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인수하는 브랜치버그 공장은 일라이릴리와의 합의에 따라 생산용량, 직원수, 생산품목 등 세부내용이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추가 증설시 전체 캐파는 셀트리온 인천 송도 제2공장의 1.5배 규모로, 상당한 규모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 공장 생산라인의 절반 정도는 셀트리온의 미국 판매 제품을 제조하고 나머지 절반 정도는 위탁생산(CMO)에 활용할 예정이라 내년부터 곧바로 CMO 매출이 발생해 셀트리온의 실적에 반영될 것이라는 게 서 회장의 설명이다.


특히 서 회장은 이번 공장 인수로 향후 출시할 제품까지 관세 리스크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국에 현지 생산시설이 없는 경쟁 제약사들의 CMO 수요까지 흡수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서정진 회장은 “미국 트럼프 대통령 후임 대통령도 관세 정책을 없던 것으로 되돌리진 않을 것"이라며 “이제 관세 리스크는 변수가 아닌 상수"라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 시장을 포기할 것이 아니라면 '메이드 인 USA' 전략은 불가피한 선택"이라며 “미국에 자체 생산시설이 없는 경쟁 제약사들은 도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 회장은 셀트리온헬스케어 합병 이후 매출원가는 30%대로 낮아지고 있고 영업이익률은 높아지고 있어 투자 여력이 있음을 강조하면서,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면서 위탁생산도 병행하는데 대한 경쟁사의 우려도 생각보다 크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밖에 서 회장은 기존 현지 공장 인력을 고용승계하고 주재원 파견도 E2 비자를 활용할 것인 만큼 최근 불거진 미국 파견 근로자 구금 사태와 같은 일은 우려할 사항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또한 인수 공장이 위치한 지역은 미국의 대표적인 제약산업단지 지역으로, 뉴저지주립대학교 약학대학을 비롯해 일라이릴리, 존슨앤드존슨(J&J),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BMS) 등 글로벌 제약사들의 연구소들이 밀집돼 있어 향후 인력 확보에도 적합하다고 강조했다.


서정진 회장은 “현지 CMO 기업에 위탁해 생산하는 것보다 자체 생산시설을 인수하는 것이 더 비용 효율적이라 판단해 이번 인수를 결정했다"며 “현지에 생산시설과 판매망을 모두 갖춘 만큼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글로벌 경쟁 우위를 다질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