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준 수원시장이 관객들에게 인사말을 하고 있다 제공=수원시
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가을의 중심에 선 수원시가 다양한 문화·예술·전통의 향연으로 시민과 호흡하며 '축제 도시'의 면모를 입증했다.
시는 지난 19일부터 20일까지 광교호수공원, 수원 통닭거리, 반딧불이연무시장, 시청 대강당 등에서 다채로운 행사를 열며 주말 내내 도심을 축제 분위기로 물들였다.
현장을 찾은 이재준 수원시장은 시민들에게 직접 감사의 인사를 전하며 “가을 3대 축제를 비롯한 수원의 대표 행사에 더 많은 시민이 함께해 주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국내외 정상급 재즈의 향연 '2025 수원재즈페스티벌'

▲수원재즈페스티벌 공연 모습 제공=수원시
지난 19일부터 20일까지 광교호수공원 재미난 밭에서 열린 '2025 수원재즈페스티벌'은 국내외 정상급 재즈 아티스트들이 참여한 수준 높은 무대로 관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밴드 Bump2Soul, 보컬리스트 양지, 미국의 Bruce Katz Band, 재즈와 삼바 리듬을 결합한 임용훈&Sambistas, 록과 재즈를 넘나드는 김윤아, 아프리카 만뎅 음악을 선보인 Tekeré, 그리고 웅산밴드 등 다채로운 아티스트들이 무대에 올라 광교호수공원을 뜨겁게 달궜다.
이재준 시장은 “세계적인 재즈 아티스트들과 시민이 함께 호흡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수원화성문화제, 수원화성미디어아트, 정조대왕 능행차 공동재현 등 이어질 가을 3대 축제에도 많은 시민이 찾아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지역상권과 어우러진 '2025 수원 통닭거리 축제'

▲이재준 수원시장이 수원 통닭거리 축제 개막행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제공=수원시
같은 기간 수원 통닭거리 일원에서는 '2025 수원 통닭거리 축제'가 열려 남녀노소 시민들의 발길을 모았다.
행궁문화거리상인회가 주관한 이번 축제는 지난 19일 저녁 행궁광장에서의 개막식을 시작으로 가수 홍진영, 아이돌 그룹 82MAJOR, BTS 댄스팀 20CH 등이 무대를 꾸몄다.
이어 지난 20일에는 가수 김장훈이 출연해 시민들과 함께 호흡했다.
또한 통닭거리 전역에서는 야외 취식존과 체험부스, 플리마켓, 버스킹 공연 등이 마련돼 방문객들에게 즐길 거리를 더했다.
이재준 시장은 “궂은 날씨에도 시민 여러분이 함께해 주셔서 감사하다"며 “통닭거리 축제를 계기로 수원화성 일원 가을 축제에도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했다.
전통시장 활성화 '릴레이마케팅 행사'

▲이재준 시장이 반딧불이 연무시장서 전통시장 릴레이마케팅 행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제공=수원시
지난 19일 반딧불이연무시장에서는 전통시장 릴레이마케팅 행사가 열렸다.
개막식 라디오 현장 공개방송과 함께 초청가수 김양, 서주경, 세컨드, 송도현이 무대를 꾸몄으며 인근에서는 '자동차 없는 날' 행사와 연계해 플리마켓과 체험학습 마을이 운영됐다.
이재준 시장은 “연무시장은 이름처럼 밝고 생기 넘치는 풍경을 가진 곳"이라며 “이번 행사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도록 지역 상권을 차근차근 변화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그러면서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의 새로운 변화를 기대해달라"고 덧붙였다.
다문화 어우른 '내·외국인 말하기 대회'

▲'제11회 내·외국인이 함께하는 말하기 대회' 참가자들이 단체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제공=수원시
시는 지난 20일 시청 대강당에서는 '제11회 내·외국인이 함께하는 말하기 대회'를 개최했다.
결혼이민자, 유학생 등이 참가한 한국어 부문과 다문화가정 자녀 등이 참가한 이중언어 부문으로 진행된 이번 대회는 본선 진출자 10명이 무대에 올라 자신만의 이야기를 전했다.
한국어 부문 대상은 베트남 출신 응오김휜 씨가, 이중언어 부문 대상은 일본 출신 박레온 씨가 각각 차지했다.
최우수상에는 러시아 출신 벨라쇼바 디아나 씨와 찰릭 타탸나로마노브나 씨가 선정됐다.
이재준 시장은 영상 축사를 통해 “말하기 대회는 언어를 넘어 서로의 생각을 나누는 자리"라며 “이번 대회가 글로벌 인재로 성장하는 소중한 경험이 되길 바란다"고 격려했다.
한편 이 시장은 이번 주말 이어진 행사 현장을 모두 찾으며 시민들과 직접 소통했다.
이 시장은 “축제는 단순한 공연이나 이벤트가 아니라 시민의 삶 속에 스며드는 문화"라며 “수원시는 앞으로도 전통과 현대, 국내와 국제가 어우러지는 다채로운 축제를 통해 '시민과 함께하는 문화도시'를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시는 오는 27일부터 시작되는 수원화성문화제, 2025 수원화성미디어아트, 정조대왕 능행차 공동재현 등 가을 3대 축제를 통해 다시 한 번 도시 전체를 축제의 장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