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번가의 슈팅배송 차량 모습. 사진=11번가
혹독한 적자 침체기에 빠진 11번가가 수익성 확보에 안간힘을 내고 있다. 인력 구조조정·사옥 이전·사업 체질 개선 등 갖은 노력을 다하고 있지만 앞길이 첩첩산중이다. 특히, 내실 다지기에 몰두한 탓에 후퇴한 외형 규모를 끌어올리는 것도 급선무다.
2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11번가는 수 년 째 강도 높은 조직 재정비 등 '내실 경영' 기조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 2023년 말 창사 이래 첫 희망퇴직을 단행한 11번가는 지난해 3월에 이어 올해만 6월, 7월, 8월 석 달 연속 인력 감축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서울역 인근에서 경기 광명시로 사옥을 옮긴 것도 임대료 절감 목적에서다.
사업 구조도 손질 대상이다. 11번가(리테일)는 두 가지 사업 축으로 직매입 기반 판매·오픈마켓 사업을 병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물류 투자·재고 관리·판매 불확실성 부담이 높아 수익성이 떨어지는 직매입 사업에 힘을 빼고, 대신 오픈마켓에 사업 역량을 집중하는 추세다.
고강도 체질 개선에 수익성도 점진적으로 회복 신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수익성에 차도를 보였다고 모든 문제가 해소된 건 아니다. 지난해부터 11번가는 영업손실·매출 규모가 동반 감소하는 실적 그래프를 이어가고 있다.
올 상반기(1~6월) 11번가의 영업손실은 199억원으로 전년 동기(-378억원) 대비 적자 폭이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같은 기간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약 27% 떨어진 2242억원에 그쳤다. 지난해 연매출도 5618억원으로 전년 대비 35% 하락했지만, 영업손실은 754억원으로 전년 동기(-1258억원)보다 40% 가량 적자 폭을 줄였다.
통상 이커머스 업계에선 외형 확장을 통한 규모의 경제가 곧 경쟁력으로 통한다.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 고정비 절감 등 수익성 절감을 이루고, 연구개발(R&D)·광고 등 투자 확대 기반으로 매출을 끌어올리는 기반이 돼서다.
이 같은 상황에서 11번가가 외형 축소까지 불사하며 재무개선 의지를 보이는 데는 복잡한 속사정이 깔려있다. 2023년 11번가는 기업공개(IPO)에 실패한 뒤 2년 째 새 주인 찾기에 난항을 겪고 있다.
IP 계획이 무산되자 최대주주인 SK스퀘어는 재무적 투자자(FI)들의 지분을 되사오는 주식매도청구권(콜옵션)을 포기했다. 이후 FI가 11번가 지분 전량 매각을 주도하고 있다. 현재 11번가 지분은 SK스퀘어가 80% 이상, 나머지 FI들이 18%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1월 매각 주관사를 선정하고 2년째 인수자를 물색 중이지만 감감무소식이다. 이 와중에 올 4분기 SK스퀘어의 11번가 2차 콜옵션 행사 기간이 도래한다. 시장에서는 행사 여부를 놓고 추론만 무성하다. 뾰족한 해법이 나오지 않은 가운데 당장에 11번가가 수익성 개선을 통해 인수합병(M&A) 시장에서 존재감을 높이고 데 집중하고 있다고 업계는 풀이한다.
11번가는 하반기에도 수익성 중심 기조를 이어가되 핵심 역량에 투자를 집중하는 경영 효율화에 힘 쏟을 방침이다. 오픈마켓 중심으로 고객 방문률·수익성이 높은 마트 카테고리에 초점을 맞춰 대규모 프로모션을 연다. 여기에 초특가 딜·상품 확대는 물론, 무료 멤버십인 '11번가플러스'를 통해 신규 고객 유입도 꾀한다.
앞서 직매입 사업의 경우 물량을 줄이는 대신 배송 서비스를 강화했다. 11번가는 올 상반기 '슈팅배송' 운영을 주 7일 배송으로 개편했다. 이 서비스는 직매입·셀러 위탁 상품 주문 시 익일 배송해주는 시스템이다.
11번가 관계자는 “무조건적인 직매입 비중 축소가 아닌 고객 편의성과 혜택을 높일 수 있는 방식으로 효율화를 추진하고 있다"며 “판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이 많이 찾고 자주 구매하는 상품 위주로 운영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