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S25 매장 내 모델이 건강 카테고리 전문 매대 앞에서 상품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GS리테일
'5000원 이하 가격 설계'가 유통업계의 새로운 흥행공식으로 떠오르고 있다. 고물가에 닫힌 지갑을 열기 위해 가격 경쟁력 확보가 불가피한 가운데, 편의점부터 대형마트, 중국계 유통업체까지 초저가 시장 공략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1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최근 주요 편의점 업체들은 신규 카테고리인 화장품·건강기능식품 중심으로 상품력을 지속 강화하고 있다. 특히, 5000원 이하의 초저가 상품까지 대거 선보이며 고객 유인력을 높이는 추세다.
GS25는 오는 9월부터 매출 성장 잠재력이 높은 500여개 매장에 건강 특화 매대를 들인다. 지난달 5000여개 점포에서 5000원대 건기식 판매를 본격화한 데 이어, 카테고리 전문성을 높인다는 이유에서다. 전문 매대인 만큼 소용량 패키지 구성의 비타민·유산균 등 30여종은 물론, 숙취해소 등 건강 지향 상품 40여종까지 폭넓게 선보인다.
건기식과 함께 GS25가 밀고 있는 전략 상품군은 뷰티다. 건강 특화 매대와 마찬가지로 다음 달부터 500여개 점포에서 뷰티 특화 매대를 운영한다. 기초·색조 화장품의 평균 가격대를 3000원으로 설정해 핵심 타깃인 10대~20대 여성 고객의 구매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경쟁사인 CU도 지난달부터 전국 6000여개 점포에서 국내 제약사들과 개발한 건기식 11종을 판매하고 있다. 10일치 단위의 소용량·소포장 패키지 구성된 전 제품 5000원 이하의 가격대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앞서 CU는 VT코스메틱·엔젤루트 등과 협업해 3000원대 기초·색조 화장품까지 출시하는 등 뷰티 카테고리에서도 가성비 상품을 내놓고 있다.
아직 건기식 출시 소식이 없는 세븐일레븐은 연내 시장에 뛰어들 전망이다. 다만, 뷰티 부문의 경우 마스크팩·선크림·세럼·크림 등 5000원 미만 기초 화장품을 경쟁적으로 내놓으며 견제에 나선 상황이다.
이들 업체가 공통으로 내세운 '5000원 이하 가격대'는 생활용품점인 '다이소'의 균일과 정책과 맞닿아 있다. 다이소는 초창기부터 '아무리 비싸도 5000원 이하'라는 가격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데, 고물가 속 초저가 전략으로 수혜를 입으면서 지난해 4조원에 가까운 매출까지 기록했다.
최근에는 생활용품점 이미지에서 벗어나 화장품·건강기능식품까지 판매 영역도 넓혔다. 편의점보다 한 발 앞서 다이소가 소용량 중심의 5000원 이하 제품들을 주로 취급해온 점을 고려하면, 편의점 업계가 이를 벤치마킹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마트 용산점에서 모델들이 '5K PRICE(오케이프라이스)' 상품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이마트
식품 전문형 다이소격의 자체 브랜드(PL)까지 내놓은 대형마트도 등장했다. 이마트는 이달 이마트·에브리데이 통합 PL '오케이 프라이스(5K PRICE)'를 출시했다. 이는 그로서리 특화형 초저가 브랜드로, 신선식품·가공식품 등을 최대 5000원 이하에 판매하는 것이 핵심이다.
식품뿐 아니라 이마트는 초저가 화장품 라인업까지 확장하고 있다. 올 4월 LG생활건강과 손잡고 이마트 전용 화장품 브랜드로 4000원대 후반의 '글로우: 업 바이 비욘드'를 출시했다. 1탄으로 출시한 탄력·광채 라인이 2개월여 만에 4만개 이상 팔리면서, 지난달에는 토너·세럼 등 신규 라인까지 출시했다.
이마트는 LG생활건강을 비롯해 펀치랩·닥터비타·닥터펩티·리르 등 현재 5개의 초저가 화장품 브랜드를 운영 중이다. 신규 브랜드 입점을 위한 협의를 지속하는 한편, 오는 10월까지 매장 내 가성비 화장품 진열 공간을 3배 늘린다는 계획도 세웠다.
이처럼 초저가 시장을 둘러싼 신경전에 불이 붙은 가운데, 중국계 유통업체들의 공세까지 더해져 시장 경쟁이 한층 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계 쇼핑플랫폼인 알리익스프레스는 최근 '천원마트 한국발송관' 개설해 5000원 미만의 생활용품 판매하고 있다. 여기에 지난해 말 가성비 잡화 전문점 표방하는 중국 브랜드 '미니소'가 국내 재진출한 데 이어, 올해 중국판 다이소로 불리는 '요요소'까지 한국 시장에 도전장을 던진 상태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최근 몇 년 새 심리적 방어선인 1만원을 깬 상품이 우후죽순 등장하면서 5000원대까지 초저가 전략 기준이 낮아졌다"면서 “장기화된 고물가로 안 싸면 안 산다는 소비 성향이 더 굳어졌다. 업계 경쟁까지 치열하니 마진을 줄여서라도 일단 고객 확보가 불가피한 때"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