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찬우

lcw@ekn.kr

이찬우기자 기사모음




[중고車 리부팅 (상)] 대기업 진출 기대가 너무 컸나…성적표 ‘기대이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18 16:28

7월 판매량 수백대 수준…진입초기 우려·기대 달리 ‘찻잔속 태풍’

완성차·렌터카 모두 실적 미미…기존 대형매매상 존재감 더 부각

“무리한 시장 확대 대신 전략수정·차별화 집중 관망세 이어질 것”

대기업과 렌터카업체가 중고차 시장에 본격 진입했지만, 실적은 예상보다 미미하며 기존 영세업체의 입지는 크게 흔들리지 않았다. 대기업 진입 현황과 한계, 플랫폼 경쟁 중심의 시장 변화, 소비자와 업계 영향 등을 2회 기획으로 조명해 본다. <편집자주>


경남 양산 하북면에 있는 '현대 인증 중고차 상품화센터'

▲경남 양산 하북면에 있는 '현대 인증 중고차 상품화센터'.

걱정보다 기대가 너무 컸던 탓일까. 완성차 기업들의 중고자동차 사업 진출이 2년이 다 돼 가지만 성과는 기대이하다.


시장을 집어삼킬 것처럼 보였던 대기업 중고차사업의 판매 규모는 여전히 제한적이고, 오히려 기존 중고차 매매상사들의 존재감이 더 두드러지고 있다.


18일 한국 중고차매매조합 연합회 오토딜러에 따르면, 현대차·기아·KGM·롯데렌탈 등 기업형 중고차 업체들은 지난달 수백대 판매에 그치며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대기업 점유율 제한이 풀렸음에도 저조한 수치라는 평가이다.


기대와 달랐던 '진입 효과'

현대차그룹은 지난 2023년 말 중고차 사업 진출을 발표했다. 이 당시엔 시장의 관심을 한 몸에 받으며 중소기업들이 수요를 뺏을 것이란 걱정과 동시에 중고차 시장의 수준을 올려줄 것이란 기대가 공존했었다.


그러나 실상은 큰 변화가 없는 '찻잔 속 태풍' 모습이었다. 지난달 현대차의 인증 중고차 판매는 469대에 그쳤다. 역대 최대 실적이라는 수식어가 따라붙었지만 규모 자체는 시장 파괴력이 미미한 수준이다.




기아도 지난달 1071대를 판매하며 준수한 판매량을 보였지만, 시장에선 인증 중고차 외에 렌터카 반납물량이 포함된 결과라고 평가절하 하는 분위기다.


기아 중고차는 현재 용인 전시장 한 곳에서만 판매를 하고 있으며, 화성에 중고차 유통센터를 추가 개설할 것이란 이야기가 나오지만 실적 측면에서 아직은 상징적 수준에 머무른다.


KG모빌리티 역시 월 30~40대에 불과해 본격적 사업 안착과는 거리가 멀다는 평가다.


지난 8일 롯데렌탈 부천 매매센터에 중고차 상품들이 진열돼 있다. 사진=이찬우 기자

▲롯데렌탈 부천 매매센터에 중고차 상품들이 진열돼 있다. 사진=이찬우 기자

최근엔 렌터카 업체들도 중고차 시장에 뛰어들었지만 이들 역시 사업초기라 그런지 존재감을 부각시키진 못했다.


롯데렌탈은 가양, 부천, 용인 등 세 곳에 전용 판매점을 열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내세우고 있다. 7일 이내 환불, 6개월 품질 보증 등을 앞세워 소비자 신뢰를 끌어내려는 전략이다.


두바이 현지 매장까지 운영하며 해외 시장까지 겨냥하고 있지만, 국내 판매량 자체는 지난달 776대로 아직 업계를 흔들 만큼 크지 않다.


SK렌터카는 아예 소매 판매점을 모두 철수하고, 천안에 전용 경매장을 열었다. 반납 차량을 전량 경매 방식으로 소화하는 전략이다. 롯데렌탈이 소매·수출·경매를 병행하는 '다각화' 전략을 택했다면, SK는 경매 중심 '선택과 집중'을 내세운 셈이다. 다만, 이 역시 중고차 내수시장의 판도를 뒤집을 만큼 성과를 내지는 못하고 있다.


상장사 케이카 역시 2025년 2분기 월평균 1만2823대 판매로 전년 동기 대비 4% 늘었지만 경로별 판매구성비로 살펴보면 긍적적이진 않다.


경매 판매비율이 20%에서 27%로 증가한 반면 오프라인 소매는 34%에서 31%, 온라인 소매는 45%에서 41%로 감소했다. 수출 증가 뒤에 내수 부진이 숨어있는 것이다.


신현도 한국중고차유통연구소장은 “기업형 업체들의 중고차시장 진입으로 기존 영세업체들의 매출이나 수익이 감소하는 등 큰 피해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그 기업형 업체들의 영업 실적이 생각 외로 미미한 수준으로 나타나다 니 관심의 정도가 크게 떨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시장의 강자는 여전히 중소업체

흥미로운 점은, 대기업의 진입에도 불구하고 전통 대형 매매상사들의 존재감이 더 부각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수원 도이치오토월드에 입점한 코리아모터스, 카메이트, 왕카 등은 월평균 600~700대의 거래량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현대차·기아·롯데렌탈·SK렌터카의 판매 규모를 상회하는 수치다.


이들 업체는 법인 전환 없이 개인사업자 체제를 유지하면서도 수천대의 재고와 수백명의 매매사를 관리한다. 프리랜서형 매매사원들을 통한 네트워크 운영, 빠른 자금 회전력 등이 비결로 꼽힌다. 겉으로는 영세업체처럼 보이지만, 실제 시장 파워는 대기업 못지않다.


이러한 흐름에 업계에서는 무리한 시장 확대보다는, 각 업체가 현실적 전략 수정과 차별화에 집중하며 '지켜보기' 국면이 연장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중장기적으로 소비자 서비스와 품질, 온라인 플랫폼과 전국 네트워크 구축 등 다층적인 경쟁 구도가 정립될지 주목되는 시점이다.


신현도 소장은 “신차 메이커나 기타 기업형 매매업체들의 판매대수 규모가 아직 그리 크지는 않지만 최소한 일정 규모 이상으로는 증가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며 “전국적 매입 네트워크나 보유 자동차 자산의 규모가 있기도 하고, 초기 시행착오를 극복하고 향후 현실적인 대응을 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거래 형태나 서비스 경쟁의 과정에서 소비자들이 업그레이드된 오프라인 매장이나 온라인 플랫폼으로 이동하게 된다면 전통적 판매 방식에 의존하는 기존 사업자들의 위상 위축과 점유율 하락이 나타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