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통신 시스템에 AI 내재”…삼성전자, 6G기술 개발 본격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16 14:00

2030년경 상용화 목표 국제표준화기구서 리더십 발휘
KT·KDDI리서치 등과 협력···“신규 서비스 부상할 것”

자료사진. 출처=이미지투데이.

▲자료사진. 출처=이미지투데이.

삼성전자가 차세대 통신기술인 '6G 개발'을 본격화하고 있다. 자체 역량을 쌓고 다른 기업들과 동맹을 맺는가 하면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도 주도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김윤선 마스터가 지난 3월 '3GPP' 무선접속망 기술표준그룹(TSG RAN) 의장으로 선출된 이후 관련 분야에서 리더십을 발산하고 있다.


1998년에 설립된 3GPP에는 삼성전자를 비롯해 애플, 에릭슨, 화웨이, 노키아, 퀄컴 등 글로벌 이동통신 기업과 관련 단체들이 참여하고 있다. 세계 이동통신 기술 표준 정립을 주도하고 있다.


3GPP를 비롯한 주요 국제 표준화 기구는 2030년경 상용화를 목표로 삼고 올해부터 6G 표준화 논의를 시작했다.


현재 6G의 이용 사례와 요구사항을 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후보 기술을 구체적으로 연구하는 단계다. 해당 연구는 2027년 중반까지 약 2년간 진행된다. 이후에는 본격적인 표준 규격 개발 단계인 '워크 아이템'(Work Item)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최종적으로는 2029년 중반까지 6G의 첫 번째 표준 규격이 완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윤선 마스터는 삼성전자 뉴스룸 인터뷰를 통해 “기술분과에서 다룰 표준 개발 안건과 개발 일정 협의를 주도하는 동시에 기술 우선순위 정리나 논의 방향 설정까지 모두 의장의 핵심 역할"이라며 “3GPP는 '합의(consensus)' 기반 구조이기 때문에 의사결정은 참여사 간 공감대가 형성될 때 이뤄진다"고 밝혔다.


이어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역적, 사업적 입장을 이해하고 절충안을 만드는 역량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4년간 더 많은 회원사들과 긴밀히 소통하며 이들의 관점을 이해하고자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여 설명했다.


김 마스터는 1999년부터 이동통신 물리계층 표준화 업무를 시작한 베테랑이다. 3G부터 6G까지 26년간 표준화 활동에 참여해 왔다.


삼성전자는 지난 3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동향과 방향을 담은 '6G 백서'를 공개하기도 했다. 주제는 '인공지능(AI) 내재화·지속가능한 통신 서비스'다.


삼성전자는 백서를 통해 최신 AI 기술을 통신 시스템 전반에 내재화하고 네트워크 품질을 높이겠다고 선언했다. 이를 통해 미래 지향적이고 지속가능한 사용자 경험을 구현한다는 방침이다.


차세대 이동통신에서 늘어나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당하고 사용자의 체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발전이 필요하다.


5G 도입 이후 통신 시장은 특히 시스템 운영 효율화, 지속가능성, 사용자 경험 개선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데이터 전송속도와 지연시간 등 통신 성능 향상뿐 아니라 운영 비용 절감, 에너지 효율 개선, 서비스 커버리지 확대, AI 등 신규 혁신 기술 도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이에 다른 기업 및 단체와 협력에도 힘을 쏟고 있다. 지난 2월에는 일본 이동통신 사업자 KDDI의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있는 KDDI 리서치와 차세대 통신 기술 연구 협약을 맺었다.


삼성전자와 KDDI리서치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에 AI를 적용해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성능을 높이는 기술을 공동 연구할 계획이다. 단일 셀(Cell)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다수의 셀을 활용하는 분산형 MIMO(Distributed-MIMO, D-MIMO)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의 설계와 운영에 AI를 적용해 최적의 성능을 구현하는 것이 목표다.


MIMO는 송·수신기에 다수의 안테나를 설치해 데이터 전송 속도 증가, 통신 커버리지 확장을 지원하는 다중 입출력 기술이다.


삼성전자는 이밖에 지난 3월 KT와 6G 통신의 품질 향상을 위한 차세대 통신 기술 연구 협약을 체결했다. 6G 후보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 커버리지를 높일 수 있는 다중 안테나 기술을 함께 개발하고, 통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AI·통신 융합 기술도 연구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6G 시대에는 몰입형 확장 현실, 디지털 트윈, 대규모 통신, 유비쿼터스 연결, 고정 무선 접속 등의 신규 서비스가 부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