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하나

uno@ekn.kr

김하나기자 기사모음




[단독] ‘탄소중립’하자더니…국회의원 3%만 전기차 탄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10 09:00

전체 차량 56%는 여전히 내연기관…고급 휘발유 세단도 다수

전기차 충전기 53기 갖췄지만 정작 무공해차 운행률 3% 그쳐

국회 탄소 중립 선언식 퍼포먼스

▲우원식 국회의장(가운데),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국민의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 등이 6월 17일 국회 탄소 중립 선언식에서 비전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사회민주당 한창민 대표, 김용태 비대위원장, 우원식 의장, 김병기 원내대표, 개혁신당 천하람 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 [사진=연합뉴스]

국회가 탄소 중립을 외치고 있지만 정작 절반이 넘는 국회의원들이 여전히 이산화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대형 화석 연료 차량을 타고 있으며 본격 친환경 차량인 전기자동차를 타는 비율은 3%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소차는 단 한 대도 없었다.


10일 에너지경제신문이 입수한 국회사무처의 '22대 국회의원 등록차량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총 298대의 의원 등록차량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은 내연기관 차량으로 167대(56%)였다. 이중 경유 차량은 38대(12.8%), 휘발유 차량은 129대(43.3%)였다.


경유 차량은 대부분 다인승이나 대형 스포츠유틸리티 차량(SUV)이었다. 차종 별로는 기아 카니발이 35대로 가장 많았으며, 모하비(1대), 현대 싼타페(1대), 팰리세이드(1대) 등이 뒤를 이었다.


휘발유 차량은 고급 대형 세단·SUV가 상당수를 차지했다. 기아 카니발 휘발유 모델이 73대로 가장 많았고, 현대 제네시스 G80 26대·G90 5대·GV80 5대 등이 등록됐다. G90은 제네시스 브랜드의 플래그십 세단으로, 풀옵션 기준으로 1억5000만 원을 넘는 고급차다. 이외에도 K8(1대), K9(1대), SM7(1대), 그랜저(7대), 쏘나타(1대), 아반떼(1대), 쏘렌토(2대), 제네시스(1대), 팰리세이드(5대) 등이 등록돼 있었다.


제네시스 G80. 사진=이찬우 기자

▲제네시스 G80. [사진=이찬우 기자]

반면 본격 친환경차량인 전기차는 전체 298대 중 9대(3%)에 불과했다. 기아의 전기 SUV EV6가 2대, EV9이 3대, 현대차의 프리미엄 전기 SUV GV70 전동화 모델 1대, 아이오닉5 2대, 아이오닉6 1대였다.




국회가 탄소 중립을 선언하면서 구내 충전 인프라를 대폭 확대하는 등 전기차 전환을 추진해 왔지만, 정작 국회의원들은 전기차를 외면하고 있는 셈이다.


국회 경내에는 지난 7월 기준 총 53기의 전기차 충전기가 설치돼 있다. 이 가운데 완속충전기는 31기, 급속충전기는 22기로, 의원회관·의정관·소통관·본관·국회박물관 등 주요 건물 지하주차장과 외곽 도로 등에 총 51기가 분산 배치돼 있다. 다만 의원회관과 의정관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완속충전기 10기는 화재 예방을 이유로 폐쇄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와 일부 자동차 업체가 미래용 운송 수단으로 적극 개발 중인 수소전기차를 타는 국회의원은 한 명도 없었다. 국회는 2019년과 2022년에 각각 1기씩, 총 2기의 수소충전기를 의원회관 외부 방문객 주차장 측면에 설치해 현재까지 가동 중이지만, 수소차를 운행하는 의원이 없어 사실상 이용률은 '0%'에 가깝다.


국회의원들이 운행 중인 하이브리드 차량은 총 122대(40.9%)로 확인됐다. 정부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친환경차'로 분류하고 있다. 이 가운데 101대가 기아 카니발 하이브리드로, 전체 하이브리드 차량의 약 82.8%%를 차지했다. 나머지는 현대 G90 하이브리드(3대), 그랜저 하이브리드(11대), K8 하이브리드(2대), 스타리아 라운지(1대), 싼타페(1대), 쏘렌토(1대), 투싼(1대),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1대) 등이었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전기모터와 내연기관을 동시에 사용하는 만큼 이산화탄소를 배출해 전기차·수소차와 같은 '무공해차(ZEV)'로는 분류되지 않는다.


2024~2025 차량유류비 집행 현황

▲2024~2025 차량유류비 집행 현황

한편 국회의원들은 '국회의원 입법활동 차량비 지급규정'에 따라 매월 110만 원씩, 연간 1320만원의 차량 유류비가 정액으로 지급된다. 2024년 한 해 동안 집행된 유류비는 총 39억 1906만원, 2025년 상반기에도 19억 6283만원에 달했다. 기름을 넣는 데 막대한 예산이 소요된다는 것은 곧 그만큼의 탄소를 배출했다는 얘기다. 다만 연료 종류별 집행내역은 따로 관리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국회사무처는 “정액 지급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충전 방식, 연료 종류 등의 지출 현황은 별도로 집계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국회는 지난 6월 17일 '2035년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하고 “2030년까지 국회 소유 차량 전부를 무공해차로 전환하겠다"고 밝혔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당시 “가장 늦었지만 공공부문보다 10년 빠른 2035년을 목표로 삼고, 탄소중립의 마중물이 되겠다"고 다짐했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