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오성용, 이상희, 이팔훈 삼성생명 신임 부사장.
삼성그룹 금융계열사인 삼성금융네트웍스가 일제히 임원 인사를 단행하면서 내년 경영의 밑그림이 그려지고 있다. 보험계열사 외 승진 규모가 축소된 가운데 젊은 리더십과 신사업 역량을 갖춘 인물들로 진영을 재정비했다.
특히 나이대가 70년대 중반 생으로 내려오면서 50대 초반 실무형 경영진 비중 확대로 세대교체 기조가 뚜렷해졌다. 1974년생은 올해 기준 만 51세로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만 50세다. 주력 계열사인 보험사들은 AI·데이터, 시니어·헬스케어 등 신사업을 맡았던 인물이나 금융경쟁력 제고 등 그룹 과제를 착실히 수행한 인물들이 발탁된 특징을 보였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삼성생명과 삼성화재, 삼성카드, 삼성증권, 삼성자산운용 등 삼성그룹 금융계열사들이 지난 26일 2026년 정기 임원인사를 실시했다. 전년도(32명) 대비 3명 줄어든 수준으로, 부사장 9명과 상무 20명 등 총 29명이 승진 명단에 올랐다.
삼성생명은 지난 26일 부사장 3명(오성용, 이상희, 이팔훈), 상무 6명(김지은, 박훈민, 안철현, 이성녕, 장재순, 황동조) 등 9명에 대한 임원 승진 인사를 단행했다. 유일하게 승진 인원이 늘어난 계열사로, 전년 대비 부사장 승진자가 1명 늘었고 상무 숫자는 동일했다.
이상희 신임 부사장이 1974년생으로 삼성금융 부사장 승진자 중 가장 젊다. 중기전략팀장과 정책지원팀장 등을 맡은 바 있어 자본규제, 금리·시장변동성 등 외부 변수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인물로 평가된다. 오성용 부사장은 1972년생으로 인사팀장 겸 사회공헌단장, 삼성금융연수원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보험 본업의 견고한 성장과 수익성 관리에 강점을 가진 영업·상품·조직관리 쪽 핵심 경력자로 알려졌다. 1971년생 이팔훈 신임 부사장은 보험운영실장과 디지털혁신실장 등을 맡아왔다. 신사업·디지털·조직혁신 관련 사업 추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생명은 보험 본업의 가치를 강화하고 회사 성과를 체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인재를 중심으로 임원진을 구성했다는 설명이다. 6명의 신임 상무도 보험 본업, 시스템 및 데이터, 자산운용, 전략·기획, 헬스케어 관련 부서를 거쳐 각자의 영역에서 성과를 입증했다. 삼성생명은 “AI를 통한 생산성 제고, 급변하는 대외 환경 속 민첩한 대응 등으로 중장기 회사 가치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삼성생명은 지난달 24일 금융경쟁력제고 태스크포스(TF)장을 역임한 이승호 부사장이 사장으로 승진하면서 유임한 홍원학 현 사장과의 2인 사장 체제가 구축된 상태다. 새롭게 사장단에 합류한 이 사장이 자산운용 등 투자부문에서의 역할을 맡은 만큼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아래 자산운용 전문성을 확대해 리스크관리에 힘을 주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왼쪽부터)권종우, 김선문, 원동주, 한호규 삼성화재 부사장.
가장 많은 인원의 승진 인사가 이뤄진 곳은 삼성화재다. 부사장 4명, 상무 7명 등 총 11명을 승진시켰다. 신임 부사장에는 권종우, 김선문, 원동주, 한호규 등 4명이, 상무 승진에는 김재형, 김현재, 나종원, 박무룡, 백동헌, 윤소연, 이준구 등 7명이 이름을 올렸다. 승진 규모는 전년과 같다.
삼성화재는 기획2팀장을 맡았던 김선문 부사장과 GA1사업단장이었던 원동주 부사장 등 분야별 업무 역량이 검증된 인물을 임원으로 발탁했다. 상무 승진자들은 영업이나 디지털 및 모빌리티, 글로벌 등 주요 본업 및 신사업 영역에서 두각을 낸 인물들이다. 도전의식이 강하고 실행력이 높은 특징을 지닌 것으로 전해진다. 나이별로는 김선문 신임 부사장이 삼성화재 부사장 승진자 중 가장 젊다. 나머지 세 부사장은 1972년생이다.
삼성카드와 삼성증권도 임원인사를 발표했다. 삼성카드는 부사장 승진자 없이 고항진·김군호·지승권 등 3명을 상무로 발탁했고, 삼성증권은 양완모 신임 부사장과 상무 4명(오선미·장효선·조제영·최화성)을 포함해 총 5명의 승진 인사를 단행했다. 삼성자산운용은 김두남 고객마케팅부문 부문장을 부사장으로 승진시켰다. 세 계열사는 각각 승진자가 1명, 1명, 2명씩 줄었다.
임원 승진 인사는 선제적으로 경영 방향성을 가늠해볼 수 있는 지표인 만큼 내년에도 보험계열사가 본업의 안정적 성장과 리스크 및 자본 관리, 디지털 혁신과 신사업 추진이라는 세 축에서 본격적인 생산성을 높여갈 것으로 예상된다. 대표이사들이 모두 유임된 것과 달리 실행력을 갖춘 임원들을 포진해 조직 성과를 끌어올 것이란 관측이다.
실제로 삼성 금융계열사들은 이번 인사에서 △이문화 삼성화재 사장 △박종문 삼성증권 사장 △김이태 삼성카드 사장 △김우석 삼성자산운용 대표 등 금융계열사의 사장급 대표이사가 모두 유임하면서 핵심 경영진의 변화 없이 전체적으로 체제를 그대로 유지한다는 메시지를 나타냈다.

![[특징주] 지투지바이오,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 소식에 강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8.624b2e2834b143ad9727256d2ae24358_T1.jpg)
![[특징주] 엔켐, 잇따른 글로벌 수주 호재에 두자릿 수 급등](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8.18d32afbb7e94506ad410eb04a83618f_T1.jpg)
![[특징주] 아로마티카, 코스닥 데뷔 둘째 날 약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7.9d94ec5462174ecdbebab97c1a4bb83a_T1.jpg)






![[EE칼럼] 브라질 아마존에서 열린 COP30의 현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521.f1bf8f8df03d4765a3c300c81692086d_T1.jpg)
![[EE칼럼] 데이터센터 논쟁, 전력수요만으로 설명할 수 없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6.2cc8189f478749e4a78608eb1c336580_T1.jpg)

![[이슈&인사이트]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노동개혁의 새로운 로드맵’](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50714.6113a82b3a8646498673ad8e0ae0439f_T1.jpg)
![[데스크 칼럼] 차기 서울시장의 조건](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3.14cf6ac622f04bbb8d92ca6558291437_T1.jpg)
![[기자의눈] 부동산 정치 공방, 결국 실수요자만 피해 본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7.cdbea9187b8e4431a0bd46d0b3494b78_T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