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포스코홀딩스와 업무협약…수소환원제철 전력 공급 기반 마련

▲경주시, 포스코홀딩스와 SMR 협력 업무협약 체결 제공=경주시
경주=에너지경제신문 손중모기자 경주시가 소형모듈원전(SMR) 1호기 유치를 위한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경주시는 1일 서울 포스코센터 회의실에서 경상북도, 포스코홀딩스와 'SMR 1호기 경주 유치 및 원전 전력 활용 협력'을 골자로 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3개 기관은 △SMR 국내 실증 1호기 경주 유치 △경주 SMR 국가산업단지 투자 △수소환원제철 실현을 위한 안정적 원전 전력 공급방안 마련 등에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경북도와 경주시는 이미 국내 첫 SMR 실증 1호기 유치와 원전 전력을 활용한 국가산업단지 조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 최대 전력·수소 활용 기업인 포스코홀딩스와의 이번 협약은 사업 추진의 동력 확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포스코는 세계 7위 조강생산능력을 보유하며 산업근대화의 중추 역할을 해왔으나, 최근 미국의 철강관세 강화와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 등 대외 환경 악화에 직면했다.
이에 따라 포스코는 탄소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수소환원제철 기술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수소환원제철은 철광석에서 산소를 제거하는 환원 과정에 기존 석탄이나 천연가스 대신 수소를 사용해 전기로에서 쇳물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1538℃의 고열을 유지해야 하는 공정 특성상 값싸고 안정적인 무탄소 전력이 필요하며, 포스코는 원자력을 사실상 유일한 대안으로 보고 있다.
철강업계는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으로는 대규모 전력 수요를 충족하기 어렵다"며 “민간도 원전 전력을 직접 구매(PPA)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협약식에서 “철강산업의 탈탄소 전환은 피할 수 없는 과제이며, 수소환원제철을 위한 안정적 전력 공급원으로 SMR이 가장 적합하다"며 “세계 철강시장을 주도하는 포스코와 첨단 에너지 산업의 중심지 경주가 손을 맞잡으면 'SMR 1호기' 유치와 지역·기업 동반성장을 동시에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