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 미국의 관세 협상이 타결된 31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관세 인하라는 전형적 호재가 자동차주엔 오히려 하락 재료가 됐다. 전날 발표된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이후 현대차와 기아 등 주요 완성차·부품주 주가는 1일에도 약세 흐름을 이어갔다. 명목상 관세율은 25%에서 15%로 줄었지만, 유럽·일본 브랜드 대비 2.5%포인트 우위를 가졌던 기존 FTA 효과가 사라졌다는 인식이 매물로 번지면서다. 시장에선 “기대치에 못 미친 합의는 호재보다 더 강한 실망으로 작용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현대차는 전 거래일 대비 1.41% 내린 21만원에 마감했고, 기아도 1.47% 하락한 10만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외국인은 이날 현대차 51만여 주, 기아 39만여 주를 순매도했으며, 기관도 각각 69만 주, 68만 주 이상을 쏟아내며 동반 매도세를 나타냈다.
협상 직후였던 전날엔 낙폭이 더 컸다. 관세 인하 기대감이 반영된 프리마켓에서 현대차와 기아 주가는 각각 9%, 8% 안팎까지 급등하며 투자자들의 낙관적인 반응이 먼저 나타났다. 하지만 정규장 개장 이후 분위기는 급변했다. 실망스러운 협상 결과가 확인되자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가 집중됐고, 주가는 빠르게 반락했다. 결국 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4.48%, 7.34% 급락하며 하루 만에 낙폭을 키웠다.
자동차 부품주 전반도 동반 약세를 보였다. 같은 날 △화신은 7.29% △HL만도는 4.26% △현대모비스는 3.92% 하락 마감했다. 장 초반의 반짝 기대감은 빠르게 실망 매물로 전환되며, 협상 결과에 대한 시장의 냉정한 평가가 주가에 그대로 반영된 셈이다.
증권가는 이번 흐름을 '선반영-기대 실망-심리 역풍'의 전형적 패턴으로 보고 있다. 업계에선 이번 협상을 두고 'FTA 프리미엄'이 사라졌다는 해석도 나온다. 한국은 기존 한미 FTA 덕분에 일본·EU보다 관세 측면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었지만, 이번 협상으로 이 프레임 자체가 무너졌다는 것이다.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협상 결과가 투자자 예상 수준을 밑돌았고, 기존 FTA 기반의 2.5%포인트 관세 우위가 사라지며 실질적 경쟁력이 약화된다는 우려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시장 반응은 절대 수치보다 기대 대비 결과에 훨씬 민감했다. 관세가 25%에서 15%로 줄었지만, 시장 안팎에선 절반 수준인 12.5% 선까지의 인하를 기대하는 분위기가 있었던 만큼 '2.5%포인트의 간극'이 오히려 투자 심리를 더 위축시켰다는 해석이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발언도 부정적 영향을 더했다. 그는 “한국이 미국산 자동차, 트럭, 농산물 등을 더 수용하기로 했다"고 밝히며 비관세 장벽 철폐 의사를 드러냈다. 이에 따라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외산차 진입 장벽이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투자심리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다만 일각에선 자동차주 하락이 과도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현대차와 기아는 북미 내 생산 거점과 점유율이 높고, 전기차·하이브리드 중심의 현지 전략 모델도 확보하고 있다. 특히 현대차의 배당수익률은 5%에 육박해, 단기 조정 이후 저가 매수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실적 반영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란 시각이 지배적이다.
송선재 하나증권 연구원은 “현대차그룹은 관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미국 내 생산 비중 확대나 가격 조정 등 대응책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다만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이 회복되기까지 시일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