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 반도체 평택2라인 전경.
반도체 부진으로 '실적 충격'(어닝쇼크)을 기록한 삼성전자가 하반기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첨단 제품을 앞세워 반등을 도모한다.
삼성전자는 31일 진행된 2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2분기가 저점으로 하반기에는 반등하는 '상저하고'를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회사가 앞세운 무기는 첨단 반도체 기술력이다. 삼성전자는 “첨단 반도체 기술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 고부가가치 제품 및 인공지능(AI)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라며 “메모리는 전반적인 수요 모멘텀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HBM3E와 등 고용량·성능 제품에 집중하겠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2분기 HBM 판매가 비트 기준 (전체 메모리의) 30% 수준까지 성장했다"며 “HBM 수량 중 HBM3E가 차지하는 비중은 80% 후반"이라고 밝혔다. 하반기가 되면 HBM3E의 매출 비중이 90% 후반 수준까지 오를 것으로 업체 측은 기대하고 있다.
6세대 신모델 HBM4 관련 기대감도 숨기지 않았다. 삼성전자는 “HBM4 제품 개발을 완료해 주요 고객사에 이미 샘플을 출하했다"고 공개했다. 또 “내년 HBM4 수요 본격화에 맞춰 적기에 공급을 늘려나갈 예정이고 이를 위해 생산량 확대에 필요한 투자를 집행할 것"이라고 했다.
'아픈 손가락'으로 불리던 파운드리 분야에서도 자신감을 내비쳤다. 삼성전자는 “파운드리는 고객 확대 및 가동률 향상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하고 2나노 기술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회사는 앞서 테슬라와 23조원 규모 파운드리 계약을 성사시켰다.

▲삼성 로고.
한국과 미국 관세협상 타결은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했다.
삼성전자는 “협상 타결로 불확실성이 감소됐다고 생각한다"며 “세부 사항에 대한 양국 추가 논의 과정을 예의주시하고 이에 맞춰 대응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8월 중순 발표가 예상되는 반도체 및 반도체 파생제품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결과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스마트폰 등 완제품도 포함돼 있어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 미국 상무부 조사에 직간접적으로 의견을 전달해왔다"고 덧붙였다.
이날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4조6761억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지난해 동기 대비 55.23% 감소한 수치다. 특히 반도체 부문에서 영업이익 4000억원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2조원대 적자를 냈던 2023년 4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같은 기간 매출은 74조5663억원으로 0.67% 증가했다. 순이익은 5조1164억원으로 48.01% 줄었다.
반도체가 부진했지만 모바일경험(MX) 사업부가 3조1000억원 영업이익을 내며 선전했다. 1분기 출시된 갤럭시 S25 흥행이 이어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하만과 디스플레이 부문에서도 각각 5000억원씩 영업이익이 발생했다. 하만은 오디오 판매 호조와 전장 사업의 비용 효율화, 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 신제품 수요와 중소형 패널 판매 확대로 견조한 실적을 냈다는 분석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글로벌 무역환경의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전세계적인 성장 둔화가 우려된다"면서도 “하반기 인공지능(AI)과 로봇 산업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확산되며 IT 시황도 점차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