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오후 서울 여의도의 점포들이 출입문을 열어두고 있다. 사진=정희순 기자
다시 초여름 더위가 찾아오자 소상공인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쾌적한 매장 환경을 위해 에어컨을 가동해야하는데, 문제는 과중한 전기요금 부담이다.
더욱이 불황 장기화에 매출은 오르지 않는데다 때이른 더위로 소상공인들의 전기요금 비용 부담이 예년보다 더 높아질 것이라는 우려까지 낳고 있다.
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낮 최고 기온이 29도를 기록하면서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의 전기요금 근심이 덩달아 깊어지고 있다.
아직 6월에 접어들지도 않았지만 최근 한낮 기온이 크게 오르면서 대다수의 점포들은 이번 주부터 본격적인 에어컨 가동을 시작한 분위기다. 특히 기상청이 올여름(6~8월) 기온이 평년대비 높을 것이라는 관측까지 내놓으면서 소상공인들의 비용 부담은 당분간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전기요금 비용 부담 우려는 소상공인·자영업자 커뮤니티에서도 감지되고 있다.
한 자영업자는 커뮤니티에서 “아직 5월인데 벌써부터 에어컨 가동을 시작했다"면서 “한번 틀기 시작하면 못해도 4개월은 풀가동을 해야 할 텐데 전기요금이 걱정"이라며 우려가을 드러냈다.
또 다른 자영업자도 “가게 안은 더운데다 습하기까지 하다"면서 “에어컨이 없으면 손님이 나갈 판이라 눈 딱 감고 그냥 켰다"고 전했다.
소상공인들의 전기요금 부담은 매년 여름 반복되는 문제지만, 최악의 경기 상황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올여름은 더 가혹하다는 평가다. 자영업자 입장에서는 매출이 제자리걸음인 상황에서 어떻게든 손님을 끌어들이기 위해 에어컨을 상시 가동할 수밖에 없다.
27일 오후 서울 여의도의 일부 점포들은 냉방을 하면서도 문을 열어둔 모습이었다. 한 점포 관계자는 “한낮 기온이 높고 실내가 덥다고 하시는 분들도 계셔서 에어컨을 거의 켜둔다"며 “지금은 손님이 뜸한 시간대라 환기를 위해 문을 열어놓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소상공인 공공요금 부담 완화는 업계가 정치권에 정책과제로 제안한 주요 과제 중 하나다.
소상공인연합회가 지난달 발표한 '2025년도 소상공인 정책과제 선호도 조사'에 따르면 응답 소상공인의 38.9%는 소상공인 공공요금 부담완화(소상공인 전기요금 계약종 신설 등)를 위기 극복을 위한 정책과제로 꼽았다. 따라서, 관련업계는 정치권에 소상공인을 위한 '전용 전기요금제 신설'을 요구하고 있다.
그나마 오는 7월부터는 정부가 소상공인들의 부담 경감을 위해 자금을 푼다. 소상공인 부담경감크레딧은 50만원의 한도 내에서 자영업자가 전기·가스·수도요금 납부나 4대 보험료 등을 납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같은 추경 지원책도 혜택 대상이 연매출 3억원 이하 영세 소상공인 약 300만명(추정치)으로 한정돼 지원대상에서 빠진 자영업 소상공인들의 불만을 낳고 있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