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권대경

kwondk213@ekn.kr

권대경기자 기사모음




1분기 수출, 대·중견기업 줄고 중소기업 늘어...10대 기업 무역집중도 상승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5.15 12:35

통계청 ‘기업특성별 무역통계’, 1분기 수출 1598억 달러 2.1%↓
중고차와 화장품 호조로 중소기업은 1.3%↑

수출입 화물이 쌓여 있는 신선대부두

▲지난달 30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수출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1분기 우리나라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수출액이 감소했다. 석유제품 부진에 따른 것이다. 반면 중소기업 수출액은 중고차와 화장품 등의 호조로 증가했다. 반도체 수출은 호조를 이어가며너 상위 10대 기업의 무역집중도는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통계청의 '2025년 1분기 기업특성별 무역통계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수출액은 159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했다.


1분기에는 석유 제품의 수출 감소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정부는 미국의 관세 조치의 영향이 1분기에는수출액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우선 대기업 수출액은 1041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9% 감소했다. 중견기업 수출액은 289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 줄었다. 대기업은 소비재(-13.2%)와 원자재(-13.5%) 수출이 크게 줄었고, 자본재(6.4%)만 증가했다. 중견기업의 경우 소비재(-0.5%), 원자재(-3.9%), 자본재(-2.4%)의 수출이 모두 감소했다. 중소기업 수출액은 26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다. 소비재(14.1%)와 원자재(1.1%) 수출이 늘었고, 자본재(-4.8%) 수출은 감소했다.


대기업과 중견기업 수출액 감소에 대해 통계청 관계자는 “휘발유나 경유 등 석유 제품의 수출이 감소한게 가장 영향이 컸다"며 “유가 하락과 주요 정유사의 전기 보수가 겹치면서 수출 물량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소기업의 경우 “중고 승용차와 화장품 수출이 가장 큰 증가 요인이었다"고 덧붙였다.




산업별로는 광제조업 수출이 석유화학·금속제품 부진으로 0.5% 감소했다. 도소매업은 도매업 중심으로 15.7% 감소했고, 기타 산업은 전문·과학·기술 부문 증가로 4.6% 늘었다.


종사자 규모별로는 1∼9인 기업 수출이 10.8% 늘었고 10∼249인(-13.5%), 250인 이상(-0.5%)은 모두 줄었다. 재화 성질별로는 자본재 수출이 반도체 등 IT부품 호조로 3.1% 증가했으나, 원자재(-9.7%)와 소비재(-4.9%)는 감소했다.


특히 1분기 대기업 수출은 감소했지만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가 호조를 이어갔다. 이에 따라 수출 상위 10대 기업과 100대 기업의 무역 집중도는 지난해보다 상승했다.


수출액 상위 10대 기업의 무역집중도는 36.0%로 전년 동기 대비 0.2%포인트(p) 올랐다. 상위 100대 기업의 무역집중도는 66.1%로 전년 동기 대비 0.2%p 높아졌다.


수입액은 1526억 달러로 1.4% 줄었다. 대기업(-4.7%) 중심으로 수입이 줄었고, 중견기업(9.7%)과 중소기업(0.5%)은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광제조업(-2.7%), 기타 산업(-3.9%)은 줄었고, 도소매업은 3.1% 증가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