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나광호

spero1225@ekn.kr

나광호기자 기사모음




금호석유화학, 석화 부진 속 선전…합성고무 수출 2조 돌파 기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12.09 15:02

전사 실적 하락 완화…타이어 수요 개선·원료값 안정화시 수익성 향상
연간 영업익 1000억원 규모·대中 규제 힘입어 전방 업체향 공급 지속

금호석유화학

▲금호석유화학 을지로 본사

글로벌 경기 부진·중국발 공급과잉 등으로 석유화학 업황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금호석유화학도 이같은 파도를 피하지 못하고 있으나, 주력 제품을 앞세워 선방 중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올 3분기까지 금호석유화학 합성고무 부문 수출은 1조6391억원으로, 상반기말 대비 6000억원 가량 불어났다. 이는 지난해 연간 실적(1조7373억원)을 소폭 하회하는 수준으로, 4분기를 더하면 2022년 기록한 2조원도 넘어설 수 있다.


71만t 규모였던 NB라텍스 생산력을 94만t 이상으로 끌어올린 것도 이같은 전망에 힘을 싣는다. 국내 기업들의 최대 수출지역인 말레이시아 등의 업체 가동률과 판매량 확대도 활용할 수 있다는 이유다. NB라텍스는 의료용 장갑 뿐 아니라 자동차·전자제품·생활용품 등의 분야에서 쓰인다.


실제로 올 1~10월 NB라텍스 수출량은 전년 대비 31% 많아졌다. 이 중 금호석유화학이 차지하는 비중은 4분의 3에 달한다. NB라텍스를 포함한 합성고무의 경우 매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82%에 달하는 상황으로, 환율 상승도 지표 향상에 기여한다.


미국의 대중국 규제 강화도 금호석유화학에게 호재다. 미국이 내년 중국산 NB라텍스 장갑에 관세 50%, 2026년에는 100%를 부과하면 동남아 국가들의 대미 수출이 더욱 증가한다는 논리다.




7월초 3733을 넘겼던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지난 6일 기준 2256 수준으로 하향 안정화되면서 원가 부담도 줄었다. 향후에도 파나마 운하 통항량 회복이 해상운임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영업이익이 지난해와 유사한 900억원대 중반으로 형성되고, 내년에는 1000억원 달성이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중동 분쟁 완화로 남아프리카 희망봉을 우회하던 아시아-유럽 노선 선박들이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게 되면 SCFI가 더욱 낮아진다는 것이 중론이다.


합성고무 부문은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금리 인하가 신차용(OE) 타이어 수요를 촉진시키고, 납사크래커(NCC) 생산력 확대에 따른 부타디엔(BD)값 하락시 판매량 증가와 원가 절감에 의한 수익성 향상도 모색할 수 있다.


천연고무값 강세도 합성고무값을 지지하는 요소다. 천연고무와 합성고무는 가격에서 차이를 보이는 때도 있으나, 전반적인 흐름은 연동되는 경향이 있다.


윤용식 한화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올 초 t당 1500달러 안팎이었던 천연고무값이 최근 2000달러대 초중반으로 급등했고,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도 유사한 가격과 흐름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금호석유화학은 2022년 591억원·지난해 631억원을 연구개발(R&D)에 투입했다. 올해도 3분기까지 433억원을 들여 레이싱 타이어용 합성고무를 개발하고 일본 업체에 공급을 시작했다. 라텍스도 수술장갑용 소재 개발 등을 지속하고 있다.


다만 페놀유도체와 에너지 부문은 설비 보수, 합성수지는 중국 실물 경기 회복 지연을 비롯한 이유로 수익성이 하락할 것으로 우려된다. 이를 포함한 금호석유화학 연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7조원·3000억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매출은 10% 이상 늘지만, 영업이익은 15% 가량 낮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NCC 부재가 예전에는 약점으로 지목됐으나, 고부가·차별화 제품 중심으로 지속가능성을 높여야 하는 국면에서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며 “2차전지용 소수벽 탄소나노튜브(FWCNT)가 국내 배터리 제조사 최종 승인을 받는 등 신사업 포트폴리오 강화를 위한 토대로 마련되고 있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