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9월 17일(화)
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한국·일본 따라하자”…해외 소비재 시장 공략에 열올리는 중국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9.05 11:47
MINISO-Indonesia-Jakarta-Central-Park-Flagship-Store-Front

▲지난달 31일 오픈한 미니소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센트럴파크 플래그십 스토어(사진=미니소)

경기 침체와 내수부진에 직면한 중국의 소비재 브랜들이 한국과 일본의 성공 사례를 모방해 해외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런 와중에 중국 브랜드들이 해외 시장 경쟁에서 한국과 일본에 비해 더 유리하다는 진단이 나와 관심이 집중된다.


4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미 컨설팅업체 베인앤컴퍼니는 보고서를 통해 중국 브랜드들은 경쟁에서 대규모 중국계 디아스포라라는 중대한 이점을 갖고 있다고 진단했다. 베인앤컴퍼니의 이같은 전망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본사를 둔 150개 소비재 상장사를 대상으로 지난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했다.


베인앤컴퍼니의 데이비드 제너 선임 파트너는 “다수의 해외 시장에서 중국계 인구는 너무 많이 때문에 중국 기업들이 해외 중국인들을 공략하는 데 있어서 불균형적인 기회가 있다고 본다"고 CNBC에 말했다.


이어 “자국 내에서 성장이 둔화하자 중국 기업들은 한국과 일본의 성공적인 해외진출 사례를 모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제너는 또 “중국 기업들은 야심찬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데다 자국내 구축한 기업가적이고 혁신적인 역량을 활용해 해외에서 새로운 입지를 창출할 수 있다"며 “한국, 일본과 같은 전략을 펼치더라도 중국 기업들은 어떤 면에서 불균형적으로 유리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유엔(UN)에 따르면 현재 해외에 거주하는 중국계 인구는 약 6000만명으로 집계됐다. 미 인구조사국 조사 결과 작년 기준 중국계 미국인은 520만명 가량으로 나타났다. 싱가포르의 경우 지난해 6월말 기준 전체 인구 중 74%가 중국계인 것으로 집계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아직까지는 중국 소비재 브랜드들은 한국이나 일본에 비해 해외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일본 일반 소비재(FMGC) 기업 16개 모두 해외 매출 비중이 1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고 5개 기업은 그 비중이 절반 이상이다. 조사된 4곳의 한국 FMGC 기업들도 해외 매출 비중이 10~50% 차지한 것으로 나타낫다.


반면 16개의 중국 FMGC 기업 중 5개는 자국 시장에만 집중하고 있으며 9개는 해외 매출 비중이 10% 미만이다. 또 해외 매출 비중이 10~50%에 속하는 중국 기업은 2개에 그친다.


그러나 이런 흐름이 반전될 것이란 게 제너의 관측이다. 그는 중국 소비재 기업들이 이제 박차를 가하기 시작한 단계라며 “중국 기업들이 아직도 개척하지 못 한 분야에서 입지를 구축할 기회가 많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다수의 서방 시장에서 아시아 문화와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중국판 다이소'로 알려진 미니소가 최근 들어 글로벌 시장에서 몸집을 빠르게 불리고 있다. 미니소는 2013년 광저우에 첫 1호점을 오픈했는데 지난 2분기 미니소의 해외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35.5% 급증한 2억780만달러(약 2769억원)를 기록했다고 CNBC는 전했다. 같은 기간 중국 본토에서의 성장률은 18%에 그쳤다.


지난달 31일엔 인도네이사 자카르타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센트럴파크 플래그십 스토어를 열었는데 첫날에만 118만 위안(약 2억2156만원)의 매출을 달성해 역대 최고액을 찍었다. 미니소는 또 지난달 24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타모니카에서 200번째 매장을 오픈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