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18일(화)
에너지경제 포토

박효순

anytoc@ekn.kr

박효순기자 기사모음




[헬스&에너지+] 부정교합 치아교정, 남녀노소 빠를수록 좋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5.26 16:10

■ 위·아랫니 맞물림 불량, 방치하면 '치아상실' 우려

영양섭취·잇몸질환 등 구강건강 저해 삶의 질 좌우

주걱턱 외모, 대인관계 중요시 젊은층 미용에 관심

국내 비발치 교정술, 美서 인정 '글로벌 표준' 과시


비발치 교정 국내 권위자인 국윤아 서울성모병원 명예교수

▲치아 교정치료에서 '비발치 교정' 권위자인 국윤아 서울성모병원 명예교수가 비발치 교정의 적응증과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서울성모병원

부정교합(위·아래 치아의 맞물림 불량)은 충치·잇몸병(치주질환)과 함께 '치아 상실'을 초래하는 3대 원인다.


최근 부정교합으로 치아 교정을 하는 연령대가 소아·청소년뿐 아니라 중·장년층 이상에서도 확산되고 있다.


대한치과교정학회에서 국내 20~70대 598명을 대상으로 치아교정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20대 63.2% △40대 46.2% △50대 45.1% △60대 35.2% 순으로 치아교정에 관심을 나타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보면, 부정교합으로 진료받은 환자의 급격한 증가세를 알 수 있다. 지난 2010년 53만 7578명에서 2015년 75만 2508명으로, 다시 2021년에는 100만명을 넘어 102만 926명에 이르렀다.




치과 교정치료(치아교정 등)는 단순한 미용 측면을 넘어 치아를 보존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치료이다. 부정교합뿐 아니라 입 부분의 돌출과 비대칭, 부정교합에 따른 구강건강의 문제, 더 나아가 심리학적인 문제까지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부정교합에 따른 치주질환이 야기돼 치아 상실이 조기에 발생할 수 있는데 치과교정으로 방지할 수 있다.


부정교합 유발 요인은 △유전 △크거나 작은 치아 턱 △위·아래 턱의 크기·형태 부조화 △비정상적인 치아 수 △치아 맹출(萌出) 이상 △유치 조기 상실 △나쁜 구강습관 △구강호흡을 유발하는 질환 △턱을 괴거나 스마트폰 과사용 등에 따른 잘못된 자세 △질기고 딱딱한 식품 과다섭취 등 다양하다.


치아 배열이나 맞물림에 문제가 있으면 씹기·발음 등 기능적 측면뿐 아니라 외모도 나빠지기 쉽다. 치아배열 불균형은 충분한 영양소 섭취와 학업, 대인관계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특히 치아가 들쭉날쭉하면 칫솔질이 어려워 충치나 잇몸질환에 걸릴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교정치료는 치아 및 구강 건강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이다.


대한치과교정학회에 따르면, 교정치료의 최적기는 부정교합의 원인에 따라 다르다.


단순히 치아 배열에만 문제가 있을 때는 시기가 문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턱뼈에 이상이 있을 경우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어린이에서 성인이 되기까지 턱뼈의 성장 과정을 고려한 장기적 치료계획이 반드시 필요하다. 적절한 시기를 놓칠 경우 추후의 치아 교정 치료가 매우 힘들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소아청소년치과 분야 베테랑인 김미선 강동경희대 치과병원 교수

▲소아청소년치과 분야의 베테랑인 김미선 강동경희대 치과병원 교수가 성장기 치아교정의 시기와 방법 등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강동경희대병원

추후 성장 등 미리 예상해야 교정 안전성 높이고 재발 최소화

주걱턱이 의심되는 반대교합이나 아래턱 성장이 과도한 어린이는 초등학교 입학 전이나 저학년부터 평가와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아를 지지하고 있는 턱뼈, 즉 위턱과 아래턱의 위치 이상(주걱턱, 비대칭, 무턱)인 경우에는 가능한 한 빨리 검사해 치아 교정전문의 진단을 받아야 한다.


치아교정은 치아가 제대로 맞물리지 않은 부정교합으로 음식물 씹기나 말하기에 어려움이 생기고 외모에도 문제가 있는 경우 흔히 시술된다. 치아 배열과 턱 성장에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에도 교정치료가 적용된다.


유치에서 영구치로 치아가 바뀌는 소아청소년기에는 치아가 제자리로 나오는 과정에 이상이 생기는 '맹출 장애'가 나타나기도 한다. 유치가 영구치로 바뀌는 혼합치열기 과정은 보통 초등학교 시기에 이뤄진다. 교정장치를 부착해 치료하는 시기는 보통 작은 어금니가 나온 직후에 시행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대략 사춘기 전 초등학교 저학년 때 인체의 성장을 활용하면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일반적으로 교정을 언제 시작하면 좋다고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힘들지만, 최적의 교정 시기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치과에 정기적으로 내원해 진료받아야 한다.


강동경희대병원 치과병원 김미선 교수(소아청소년치과)는 “유치가 빠지고, 영구치가 제대로 나고 있는지 확인 후 환자 상태에 따라 다양한 교정방법과 시기를 결정하게 된다"면서 “특히 증세가 심한 경우 빠르면 만 4세쯤에 교정이 필요한 경우도 있으므로 검사를 받고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서울성모병원 치과병원 국윤아 명예교수(대한치과교정학회 전 회장)는 “성장기 환자의 경우 위턱과 아래턱의 성장에 대해 충분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정확한 진단에 의해 적절한 교정치료를 할 수 있다"면서 “잔여 성장과 추후 성장 양상에 대해 미리 예상할 수 있어야 교정치료 후 안정성을 높이고 재발의 최소화가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치아교정 시술 모습

▲치아교정은 소아청소년기뿐 아니라 중장년 이후, 나아가 노년기에도 가능하다. 사진은 치아교정 시술 장면. 사진=대한치과교정학회

국윤아 교수팀 비발치 임상논문, 미국 양대 저널에 표지 장식

나이가 들면 잇몸이 약해져 아래쪽 치아가 몰리거나 치아 사이에 틈이 생기고, 입술 탄력이 줄어 모양이 변형되면서 아랫니가 더 많이 노출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중·장년 층에서 말을 하거나 웃을 때 어색하고 좋지 않은 인상을 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미적인 이유뿐만 아니라 기능적으로도 치아 배열이 고르지 못해 치아 틈새에 음식물이 잘 끼고 양치질이 어려워져 잇몸질환과 치아상실을 초래한다. 성인이나 노인 환자들이 교정치료를 받게 되면 심미적인 개선뿐만 아니라 치아를 가지런하게 배열하여 잇몸뼈가 소실되는 것을 예방하고, 치열을 장기적으로 안정스럽게 유지할 수 있어 전신건강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교정치료가 나날이 발전하면서 특히 치아를 발치하지 않고 치아교정을 하는 비발치교정이 새로운 치료법으로 떠올랐다. 특수하게 고안된 골격성 고정장치를 입천장에 고정해 심미적으로 효과가 있고 불편감 최소화와 함께 어금니와 전체 치열을 치아 뒤쪽으로 이동시킨다. 발치를 하지 않기 때문에 자연치아를 보존할 수 있다.


비발치교정은 골격적 부조화가 심해 수술이 필요한 환자, 치열에 공간이 부족해 치아가 매복된 환자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서울성모병원 치과병원 국윤아 교수팀이 발표한 여러 비발치 임상 논문들은 미국 치과교정학계의 양대 저널인 '미국교정학회지'에 이어 '미국임상치과교정학회지'에도 표지 논문으로 실리는 등 'K-치아교정'으로 세계의 표준이 됐다.


치아교정  올바른 상식 Q&A

치아교정 올바른 상식 Q&A

▲도움말=대한치과교정학회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