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
22대 총선이 10일 오전 6시를 기해 전국 투표소에서 일제히 시작된 가운데 최종 투표율이 70%를 넘어설지 관심이 쏠린다.
1987년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후 역대 전국단위 선거를 보면, 대통령선거는 투표율이 60∼80% 선에서 움직였다. 전국단위 선거 최고 투표율은 1987년 13대 대선의 89.2%였다.
반면 총선의 경우 투표율이 대선보다 낮은 추세를 보였다. 총선 최고 투표율은 1988년 13대 총선의 75.8%로 13대 대선보다 10%포인트(p) 이상 낮았다.
총선은 그다음 선거인 1992년 14대 때 71.9%를 기록한 이후 투표율 70%를 넘어선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2000년 16대 총선 이후로 좁혀 보면 총선 최고 투표율은 4년 전 21대 때의 66.2%였다. 만약 이번 선거 투표율이 70%대에 도달한다면 '21세기 들어 최고 기록'을 세우는 셈이다.
이번 선거 사전투표율은 31.3%로, 21대 총선보다 4.6%p 올랐다. 이런 분위기가 본투표까지 이어지면 70%대 투표율도 달성 가능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국민의힘은 투표율 목표치나 전망치를 제시하지는 않았으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 겸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전날 막판 유세에서 '딱 한 표가 부족하다'며 최대한 많이 투표에 참여해달라고 호소했다.
투표율 목표치를 71.3%로 설정한 더불어민주당도 이재명 대표부터 나서서 '대선 때보다 절박하다'며 투표 독려전을 벌였다. 민주당은 앞서 사전투표율 목표치 31.3%를 정확히 맞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