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나광호

spero1225@ekn.kr

나광호기자 기사모음




배터리업계, ESS 시장 내 입지 강화 모색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3.13 15:03

올해 글로벌 시장 규모 400억달러…2035년 800억달러

북미 시장 위주로 점유율 확대 추진…LFP 포트폴리오↑

SK온

▲SK온이 '인터배터리 2024'에서 선보인 ESS 제품

글로벌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규모가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국내 기업들도 입지 강화를 위한 움직임을 가속화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보급 확대 등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에너지밀도가 높은 리튬이온배터리(LiB)를 사용한 ESS 시장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SNE리서치는 올해 LIB ESS 시장을 235GWh로 예상했다. 이는 전년 대비 27% 커진 수치다.


금액 기준으로는 400억달러로 14% 가량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2035년에는 618GWh(약 800억달러)로 형성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현재는 중국계 업체들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앞세워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자국 내 수요가 크고 가격경쟁력도 국내 기업들을 상회하는 탓이다.


ESS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제약을 받지 않는 것도 언급된다. 전기차용 배터리와 달리 해외우려기업(FEOC)에 대한 우려가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글로벌 국내외 업체들의 총 LiB ESS 총 출하실적 185GWh 중 CATL·BYD·EVE·HTHIUM을 비롯한 중국계 업체들의 시장점유율이 70%를 넘었다.


삼성SDI(5%)와 LG에너지솔루션(4%)은 각각 6·7위에 이름을 올렸다. 국내 기업들의 점유율은 전년 대비 5%p 하락했다.


국내 기업들은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성과를 낸다는 전략이다. 지난해 55GWh 수준이었던 북미 LiB ESS 시장은 2035년 181GWh까지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SDI

▲'인터배터리 2024 어워즈'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 최고 혁신상'을 수상한 삼성SDI의 '삼성배터리박스(SBB)'

LG에너지솔루션은 3조원을 들여 애리조나에 16GWh급 LFP ESS 공장을 건설 중이다. ESS 사업부문 매출을 3배 이상 성장시키기 위함이다.


ESS 공급 뿐 아니라 사업 기획·설계·설치·유지 및 보수 등을 아우르는 통합 솔루션 사업역량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ESS SI 법인 LG에너지솔루션 버테크도 설립했다.


최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4'에서 LFP 표준화 전력망 ESS 라인업의 '1번타자' JF1 DC-Link와 주택용 ESS 신제품 enblock S도 선보였다.


삼성SDI는 2026년 양산을 목표로 ESS용 LFP 배터리를 개발 중이다. 안전성을 높인 '삼성배터리박스(SBB)' 판매 확대도 모색한다.


이는 ESS 내부 배터리 셀·모듈을 하나의 박스에 담은 것이 특징이다. 하이니켈 NCA 양극재를 활용해 용량도 기존 대비 30% 늘렸다.


인터배터리에서 수주시 현지에서 연결 후 바로 사용 가능하도록 완제품 형태로 이송하는 사업 방식도 소개했다.


SK온도 미국 IHI테라선솔루션즈와 손잡고 북미 시장 진출에 나서는 등 사업에 박차를 가한다. 인터배터리에서 하이니켈 및 LFP ESS 모듈도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는 출력·충전량·고장 여부 등 개별 셀 및 모듈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한 것이 특징으로, 모듈을 직·병렬로 이은 차세대 DC블록 모형도 전시했다.


업계 관계자는 “ESS는 EV 다음으로 크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는 시장"이라며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북미 시장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