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안효건

hg3to8@ekn.kr

안효건기자 기사모음




살찐 거 같은데 BMI 못 믿겠고 인바디 귀찮고? 바지 둘레로 ‘이 방법’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8.22 18:03
running-4782722_1280

▲운동하는 여성 사진(기사내용과 무관)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국내 연구진이 체질량지수(BMI)나 허리둘레(WC)를 대체할 지표로 ‘체중 보정 허리둘레 지수’(WWI)를 개발, 건강척도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2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김남훈·김경진 고려대 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교수팀은 2008∼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WWI 활용 가능성을 분석한 후 그 결과를 노인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악액질·근감소·근육 저널’(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 최신호에 게재했다.

WWI는 앞서 고려대 통계학과 박유성 교수팀과 안암병원 김신곤·김남훈 교수팀이 개발한 체성분 지표다.

이 지표는 허리둘레를 체중의 제곱근으로 나눈 것으로, BMI처럼 고가 장비 없이 간단하게 산출할 수 있다.

가령 허리둘레가 80㎝, 몸무게가 64㎏인 사람이 있다면 WWI는 80을 64의 제곱근 8로 나눈 10이 된다. 연구팀은 남성은 10.4, 여성은 10.5가 건강한 체성분지수를 예측하는 최적 WWI라고 확인했다.

아울러 연구팀이 50세 이상 남성과 폐경 후 여성 총 5983명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WWI 수치가 높을수록 체지방이 높고, 근육량·골밀도가 낮음을 확인했다.

이에 병원은 WWI가 체성분과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임을 규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hg3to8@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