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5월 서울 사무실 매매 거래량이 직전월 대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사무실 매매거래량 및 거래금액 그래프. 부동산플래닛 |
20일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AI) 기반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부동산플래닛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2023년 7월 1일 기준)를 기반으로 2023년 5월 서울시 오피스 거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서울 사무실 매매거래량은 전월(4월)에 비해 46.6% 늘어난 129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들어 가장 많은 거래량이다.
거래금액의 경우 1624억원으로 전월 대비 74.7% 줄었다. 다만 이는 지난 4월 종로구 콘코디언 빌딩에 위치한 사무실들의 이례적인 집중거래 발생으로 인한 기저효과라는 것이 부동산플래닛의 설명이다. 이런 상황을 감안하면 5월의 거래금액은 지난 1분기 사무실 누적 거래금액인 726억원을 2배 이상 웃도는 수치로, 전년 동월과 비교해도 52.8% 늘어난 규모라고 부동산플래닛은 부연했다.
서울시 내 3대 주요 권역별로 살펴보면 YBD(영등포·마포구)가 54건의 거래량을 보이며 직전월 대비 315.4% 대폭 상승했다. GBD(강남·서초구)에서는 19건의 거래가 발생해 58.3%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CBD(종로·중구)는 82.1% 하락한 5건의 거래에 그쳤다.
거래금액에서도 YBD는 4월 대비 367.7% 상승한 681억원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동월과 비교하면 1527% 늘어난 수치다. 이어 GBD에서는 82억원의 거래금액이 발생해 전월 대비 11% 증가했고, CBD는 99.7% 감소한 2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밖에, 3대 권역을 제외한 기타 지역에서도 5월 한달 간 51건의 사무실 거래가 발생했으며 거래금액은 840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4월 대비 각각 45.7%, 777.1% 늘었다.
사무실 거래와 달리, 빌딩 거래는 한풀 숨죽인 모습이다. 실제, 5월에 거래된 서울시 오피스 빌딩은 직전월 9건에서 6건으로 감소했다. 4월까지 3개월 연속 이어진 증가세가 꺾였다. 다만,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20% 높은 수준으로 다시 한 번 우상향 곡선을 그릴 것이란 기대감은 여전하다고 부동산플래닛 측은 설명했다.
매매거래금액은 947억원으로 전월과 비교해 70.2%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량 감소와 함께 4월에 비해 비교적 금액대가 크지 않은 빌딩들 위주로 거래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광진구 구의동에 위치한 남진빌딩이 342억원에 거래돼 5월 중 가장 큰 거래금액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한경빌딩(강동구 천호동, 210억 원) △대동빌딩(영등포구 대림동, 172억 원) △연흥빌딩(금천구 독산동, 51.7억 원) 등이 거래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 전체 오피스빌딩 공실률은 2.43%로 확인됐다. 부동산플래닛이 5월 업무시설을 대상으로 전화, 방문조사 및 부동산관리회사의 임대 안내문 등을 통해 조사한 결과다. 이는 4월 공실률(2.35%)보다는 소폭 상승한 수치이나, 통상 자연공실률이 5% 안팎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절반 이상 낮은 수치다.
주요 권역별로는 GBD의 공실률이 직전월과 동일한 0.81%를 기록해 가장 낮았다. 이어 YBD 1.75%, CBD 4.03%로 집계되며 4월 대비 소폭 증가한 수준을 보였다.
5월 서울 오피스빌딩의 전용면적당비용(NOC)은 19만7000원으로 4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집계됐다. 주요 3대 권역의 경우 권역별로 GBD 20만4000원, CBD 19만4000원, YBD가 18만7000원으로 분석됐다. zoo100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