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설사들이 어느 때보다 힘든 보릿고개를 겪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 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주 기자] 건설사들이 어느 때보다 힘든 보릿고개를 겪고 있다. 공사비 상승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 지방 미분양 심화, 자금조달 어려움 등으로 인해 폐업 건설사들이 속출하고 있는 모습이다. 하반기 경영여건도 녹록지 않은 만큼 건설사들의 위기감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19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종합건설기업 폐업 건수는 총 248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1년 상반기의 310건 이래 최대치다. 지난해 종합건설업체 폐업 건수는 모두 362건으로 한 달 평균 30건 수준이었으나, 올 상반기는 41건으로 작년보다 월평균 10건씩 많은 상황이다.
지난 5월 ‘해피트리’ 브랜드로 알려진 중견건설사 신일은 자금난을 견디지 못하고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앞서 4월에는 대창기업이, 3월에는 범현대가 HN Inc가 각각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시공능력평가 83위인 대우조선해양건설 역시 올 초 경영난으로 회생절차에 들어갔다.
건설사들은 어느 때보다 어두운 터널을 지나고 있다. 부동산 경기 침체 속에서 공사비·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 지방 미분양 심화, 고금리 시대 자금조달 어려움 등 3중고를 겪고 있는 것이다.
실제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건설공사비지수는 올 들어 꾸준히 오르고 있다. 지난 4월 기준 151.26(2015=100)으로 1년 전(145.85) 대비 크게 증가했다.
특히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도 쌓여가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8865가구로 전달(7만1365가구)보다 3.5% 줄었다. 하지만 여전히 20년 장기 평균(6만2000가구)을 훌쩍 넘었다. 지역별로 미분양 물량을 보면 지방(5만8066가구)에 84.3%가 집중돼 있다. 준공 후 미분양 역시 지방에 81.8%(7276가구)가 몰려있다.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 연구위원은 "정부의 규제 완화로 수도권 분양시장이 일부 살아났지만, 지방을 중심으로 분양시장이 여전히 침체된 상황"이라며 "현금 유동성을 어느 정도 확보한 대형 건설사들은 버틸 여력이 있지만, 중견 건설사들은 자금경색이 심각해 이미 한계에 이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반기에도 건설사들의 경영 여건은 녹록지 않을 전망이다. 주택경기 부진으로 신규 수주가 줄어든 데다 건설투자 역시 위축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건산연에 따르면 지난 2019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건설수주 규모는 4년 연속 증가해 지난해 229조7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는 신규 수주가 하반기 6.6% 줄어 전년 대비 12.9% 감소한 200조10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건설투자는 상반기 1.8% 늘었지만, 하반기에는 0.2% 줄어들어 전년 대비 총 0.7% 증가해 259조50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박 연구위원은 "상반기에 준공을 앞둔 건축공사가 활발할 것으로 기대되나 하반기에 완공 공사가 증가하면서 건축 투자는 점차 감소할 것이며, 토목투자도 투자 위축으로 전반적인 부진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건설사들은 건설경기 부양을 위한 정부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중소업체는 상황이 심각해 정부 정책 지원이 절실하다"며 "미분양 주택 양도소득세 특례, 취득세·재산세 감면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zoo100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