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김아름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내년도 최저임금이 9860원으로 결정된 것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전경련은 19일 추광호 경제산업본부장의 코멘트를 통해 "최저임금위원회가 내년도 최저임금을 2.5% 인상된 9860원으로 정한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추 본부장은 "올해 우리 경제는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수출부진 등의 여파로 1% 초중반의 저성장이 예상된다. 기업들과 수많은 자영업자들은 내수침체에 따른 판매부진과 재고누적으로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현 상황을 설명하며 "소규모 영세기업과 자영업자들은 금번 최저임금의 추가적인 인상에 따른 인건비 부담으로 경영 애로가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특히 "최저임금의 영향을 많이 받는 청년층,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일자리에 부정적 영향이 초래될 것으로 우려된다"면서 "최저임금의 합리적 결정을 위해 생산성과 사업주의 지불능력 등을 고려하고, 업종별 차등 적용 등 현실을 반영한 제도개선 방안이 조속히 마련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전경련은 19일 추광호 경제산업본부장의 코멘트를 통해 "최저임금위원회가 내년도 최저임금을 2.5% 인상된 9860원으로 정한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추 본부장은 "올해 우리 경제는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수출부진 등의 여파로 1% 초중반의 저성장이 예상된다. 기업들과 수많은 자영업자들은 내수침체에 따른 판매부진과 재고누적으로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현 상황을 설명하며 "소규모 영세기업과 자영업자들은 금번 최저임금의 추가적인 인상에 따른 인건비 부담으로 경영 애로가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특히 "최저임금의 영향을 많이 받는 청년층,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일자리에 부정적 영향이 초래될 것으로 우려된다"면서 "최저임금의 합리적 결정을 위해 생산성과 사업주의 지불능력 등을 고려하고, 업종별 차등 적용 등 현실을 반영한 제도개선 방안이 조속히 마련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