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강근주

kkjoo0912@ekn.kr

강근주기자 기사모음




[포커스] 부천아트센터 국내 3대 클래식홀 ‘파란불’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7.17 21:08
조용익 부천시장

▲조용익 부천시장. 사진제공=부천시

[부천=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 기자] 부천시가 클래식 전용 콘서트홀인 부천아트센터 건축음향을 측정하기 위해 ‘만석(滿席) 테스트’를 국내 지자체 최초로 진행했다. 테스트 결과가 ‘클래식 공연 최적화’로 나와 대한민국 3대 클래식홀을 목표로 내건 부천시 청사진에도 파란불이 켜졌다.

부천아트센터 만석 테스트는 올해 5월 1445석 규모 콘서트홀에서 진행됐으며, 결과 분석은 올해 7월 완료됐다. 테스트에는 부천시 및 산하기관 직원 909명, 경기예고-소사고-부천고 등 관내 고교 3곳 재학생 198명, 감리단 등 기타 30명 등 1137명 관객과 부천필하모니오케스트라가 참여했다.

부천아트센터는 각 공연 장르가 요구하는 특성에 맞춰 음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국내 최초 능동형 공연장이다. 세계 최초로 설치한 ‘이중 반사판’을 통해 각각 장르에 맞는 음향과 예술성을 구현할 수 있어 코페르니쿠스적 한국 공연장 전환으로 평가된다.

부천아트센터 음향을 설계한 애럽(Arup)사의 나카지마 타테오 기술책임자는 올해 5월 개관기념 기자회견에서 "공연장 무대 천장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6개 대형 음향반사판과 57개 소형 반사판을 설치했다"며 "이 중 반사판을 조절해 공연 장르마다 최적화된 음향을 관객에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천아트센터 만석 테스트 현장

▲부천아트센터 만석 테스트 현장. 사진제공=부천시

◆ 지자체 최초 만석 테스트…공연장 수준 정립 나침판

만석 테스트는 공연장에 관객을 채운 뒤 음향 테스트 실시를 말한다. 실제 공연과 다를 바 없는 유의미한 관객 수를 채우면 만석으로 간주한다. 이번 만석 테스트는 국내 지자체 최초다. 국내 전체를 통틀어도 삼성전자인재개발원 콘서트홀에 이은 두 번째다.

국내에서 만석 테스트는 상주단체 존재 여부 및 관객 동원 문제로 진행에 한계가 있다. 부천시는 이런 문제에 적극 대응해 만석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추진했다. 만석 테스트 결과는 공연 실황과 같은 조건을 갖춘 뒤 도출한 값이기에 실제 공연장 수준 정립 및 발전에 도움을 준다.

반면 공석 테스트는 실제 공연에 대한 관객의 솔직한 평가를 반영할 수 없어 공연장 고유 음향적 특징을 정확하게 정립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래서 미국-유럽과 같은 클래식 선진국에선 공연장 건립 후 실제 공연 조건으로 이뤄진 만석 테스트가 일반화돼 있다.

◆ 음향측정장비 14곳 설치…관객 평가문항 의견 제시

음향측정 진행은 부천아트센터 건립 건설관리(음향컨설팅) 업무를 수행한 ㈜삼선엔지니어링 건축음향연구소 관계자들이 맡았다. 측정 방법은 △물리적 평가 △청감 평가 등으로 진행됐다.

물리적 평가는 잔향시간이나 음압레벨과 같은 물리량에 의한 평가, 공연 전 음악가와 관객 참여 아래 음향측정 장비를 통한 측정 등을 말한다. 청감 평가는 친밀감-생동감 등 심리량에 의한 평가, 음악감상 후 청감 평가 실험지 작성 등을 뜻한다. 공연에 참석한 연주자와 관객이 청감평가에 참여한다.

음향측정 및 청감평가는 실제 연주를 토대로 전개됐다. 최정우-박혜산 지휘 아래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가 바흐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제3곡, 스트라빈스키 불새 모음곡, 엘가 위풍당당 행진곡 1번 등을 선보였다.

음향측정 장비는 콘서트홀 1층 5곳, 2층 4곳, 3층 2곳, 무대 3곳 등 14곳에 설치됐고, 각각 지점에서 측정이 진행됐다. 관객은 공연 감상을 마친 뒤 사전에 주어진 평가 실험지 각 문항에 맞춰 의견을 제시했다.

측정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오케스트라가 연주할 때 기본 모드인 주 반사판(높이 14m), 보조 반사판(높이 13.2m), 배너 커튼 미설치 등이 측정조건으로 갖춰졌다. 천장에 설치된 음향반사판과 객석의 음향 조절용 배너 커튼은 각 장르에 맞춰 울림의 양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부천아트센터 만석 테스트 음향측정 장비 설치

▲부천아트센터 만석 테스트 음향측정 장비 설치. 사진제공=부천시

음향측정 지점에 설치된 음향수음장비

▲음향측정 지점에 설치된 음향수음장비. 사진제공=부천시

◆ 건축음향 측정 결과 ‘클래식 공연 최적화’

음향측정 결과는 △풍부한 울림 잔향시간(T30) 평균 2.25초 △높은 면밀도를 가진 벽체-천장-바닥 구성으로 음의 온기 확보 △형태와 측벽 반사음 확보로 좋은 공간감 구현 △음악공연에 필요한 정적도 확보’로 나왔다. ‘클래식 공연에 최적화’된 음향에서 모든 조건을 구현한 것이다.

여기서 주목할 대목은 ‘잔향시간(T30) 평균 2.25초’다. 이는 관객이 공연장에서 ‘풍부한 울림’을 느끼는 최적 수치다. 실제로 관객이 공연장에서 음악을 느낄 때 잔향시간이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이번 움향측정을 진행한 김남돈 ㈜삼선엔지니어링 대표는 "풍부한 울림(잔향시간)은 콘서트홀 수준을 평가할 때 살펴보는 가장 중요한 조건"이라며 "특히 부천아트센터는 저음역대의 충분한 반사, 음으로부터 둘러싸인 공간감, 연주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충분한 부속시설, 낮은음(pp)-높은음(ff) 모두 들을 수 있는 낮은 배경소음 기준 확보 등 다른 조건도 훌륭히 갖췄다"고 평가했다.

◆ 객석 슈박스 형태로 충분한 반사 확보…무대-합창단석 포도밭 형태

부천아트센터 공연장 음향은 건축음향 권위자인 나카지마 타테오와 그가 소속된 영국 애럽(Arup)사가 담당했다. 콘서트홀은 부천아트센터 메인홀로 슈박스(Shoebox, 구두상자)를 기본으로 한 빈야드(Vineyard, 포도밭) 혼합 형태로 지어졌다.

객석은 벽으로부터 충분한 반사를 통해 질 높은 공간감과 음의 세기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는 슈박스 형태도 만들어졌다. 무대-합창단석은 빈야드 형태로 설계됐다. 빈야드 형태는 객석과 무대 사이 거리를 좁혀 보다 더 생동감 있는 음악을 관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클래식 특화 공연장인 콘서트홀과 달리 304석으로 구성된 소공연장은 연극-무용-국악-소규모 오페라 등 폭넓은 장르를 포용할 수 있도록 블랙박스 극장(4면이 검은색으로 칠해진 박스 형태)으로 만들어졌다.

조용익 부천시장은 17일 "부천아트센터가 세계적인 공연장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국제 기준에 맞춰 관객 음향측정 평가를 실시했다"며 "이번 만석 테스트는 부천아트센터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한편 부천 도시 브랜드 제고에도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kkjoo0912@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