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한국은행. |
은행 가계대출도 3개월 연속 늘었으며, 잔액 기준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12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을 보면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6월 말 기준 1062조3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5조9000억원 늘었다. 잔액 기준으로 사상 최대 규모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올해 들어 전월 대비 지난 3월까지 감소세를 보이다가 4월(+2조3000억원) 증가세로 돌아선 후 5월(+4조2000억원)에 이어 석 달 연속 늘었다.
특히 6월 가계대출 증가 폭은 2021년 9월(+6조4000억원) 이후 1년 9개월 만에 가장 컸다.
가계대출은 주택담보대출 중심으로 증가했다. 6월 은행 주택담보대출은 7조원 증가했다. 주택구입 자금 수요 확대, 입주 물량 증가, 전세자금대출 증가 전환 등의 영향을 받았다. 증가 폭은 2020년 2월(+7조8000억원) 이후 3년 4개월 만에 최대다.
주택담보대출은 올해 들어 2월(-3000억원) 줄었다가 3월(+2조3000억원), 4월(+2조8000억원), 5월(+4조2000억원), 6월(+7조원) 등 4개월 연속 증가했다.
전세자금대출은 4월(-1조7000억원)과 5월(-6000억원)까지 7개월 연속 감소하다가 6월(+1000억원) 증가세로 바뀌었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6월 1조1000억원 줄었고, 2021년 11월(+5000억원) 이후 19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기타대출은 5월 가정의 달 소비, 여행 등과 관련한 자금 수요가 증가해 감소 폭이 500억원에 그쳤지만, 전월의 계절요인이 소멸되며 6월에 다시 확대됐다.
한은 관계자는 "특례보금자리론 공급, 주택담보대출 규제 완화 등이 더해져 지난해부터 부진했던 주택 거래량이 연초부터 늘어나고 있다"며 "주택거래량 증가는 2∼3개월 시차를 두고 은행 주택담보대출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단 과거에는 은행 신용대출이나 비은행 주택담보대출 등이 함께 늘었는데, 아직은 이런 동반 증가세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했다.
가계대출이 아닌 예금은행의 6월 말 기업대출 잔액은 1210조1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5조5000억원 증가했다. 단 증가 규모는 4월(+7조5000억원)이나 5월(+7조8000억원) 대비 줄었다.
대기업 대출은 2조4000억원, 중소기업 대출은 3조1000억원(개인사업자 2000억원) 각각 늘었다.
한은 관계자는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기업의 대출 일시상환, 은행 건전성 관리를 위한 대출채권 매·상각 등 반기 말 계절요인에 따라 6월 기업대출 증가 규모가 축소됐다"고 했다.
예금은행의 6월 말 수신(예금) 잔액은 2251조5000억원으로, 전월 말 대비 38조4000억원 늘었다.
수시입출식예금 잔액은 887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분기 말 재무비율 관리 등을 위한 법인자금 유입 등으로 37조1000억원 늘었는데, 2020년 2월(+38조6000억원) 이후 증가 폭이 가장 크다.
정기예금은 예금금리 상승 등으로 가계와 기업 자금이 유입되며 4조4000억원 증가해 2개월 연속 늘었다. 단 증가 폭은 5월(+10조5000억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자산운용사 수신은 5월 1조2000억원 줄었는데 6월에는 3조3000억원 증가 전환했다. 머니마켓펀드(MMF)는 5조4000억원 줄었다. 채권형펀드에는 2조4000억원, 주식형펀드에는 1조9000억원이 각각 유입됐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