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타의 스레드 로고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사진=로이터/연합) |
연합뉴스가 인용한 10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트위터는 월간 활성 이용자(MAU) 약 5억 3500만명을 기록하고 있다.
스레드가 출시 이후 5일 만에 가입자가 1억명을 돌파했지만 아직은 트위터가 스레드의 이용자 규모를 월등히 앞서고 있다.
하지만 추세로 보면 스레드가 눈 깜짝할 새 약진하는 동안 트위터 트래픽이 잠식당하고 있다. 이 기세라면 트위터가 추월을 당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통계 사이트 시밀러웹(Similarweb)에 따르면 스레드 출시 다음날인 지난 6일부터 이틀 동안 트위터의 트래픽은 전주 대비 5% 줄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는 11% 급감했다.
WSJ은 "사용자들이 두 개의 소셜미디어를 모두 굴리려고 하기보다는 스레드를 위해 트위터 이용을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며 "스레드의 초고속 성장이 트위터에 타격을 주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배경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트위터 인수 이후 경쟁자들이 뛰어들 수 잇는 공간이 생겼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구독 수익 증가와 비용 절감을 내세운 머스크는 계정 인증 서비스인 ‘트위터 블루’를 유료화했고, 최근에는 월 사용료를 내지 않는 무료 계정에는 월별 조회 가능 게시물에 제한을 두는 등 조치를 강행하며 반발을 샀다.
대규모 감원의 여파로 접속 장애가 빈발하는가 하면, 콘텐츠 감시 기능이 취약해지며 성 착취물이나 혐오성 발언, 허위정보 등 문제성 트윗이 늘어났다는 지적이 이어지는 가운데 광고주 상당수가 결별을 선언하기도 했다.
![]() |
▲금이 가는 트위터 로고(사진=로이터/연합) |
앞서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과 스티브 스컬리스 하원 원내총무 등 공화당 간판 정치인들이 스레드를 시작했다. 마이크 펜스 전 부통령과 니키 헤일리 전 유엔대사, 팀 스콧 상원의원 등 대선 잠룡들도 마찬가지다. 민주당에서도 의원 다수가 스레드에 가입했고, 니라 탠든 국내정책위원장과 앤드루 베이츠 언론 담당 부보좌관 등 백악관 보좌진도 여럿 동참했다.
빌 게이츠와 오프라 윈프리 등 ‘셀럽’들도 잇따라 뛰어들었다. 여기에 트위터 서비스에 실망한 개인 인플루언서들도 스레드로 등을 돌리고 있다고 AP 통신은 보도했다.
스레드의 사업성 또한 긍정적으로 전망됐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에버코어 ISI의 마크 머헤이니 등 애널리스트들은 스레드의 일간 활성 사용자 수가 2025년까지 2년간 2억명에 근접해 연간매출이 80억 달러(약 10조 4000억원)에 이를 수 있다고 예측했다.
이는 블룸버그가 집계한 메타의 2025 회계연도 매출 전망치(평균) 1560억 달러(약 202조원)의 일부에 불과하지만, 트위터가 공개한 가장 최근의 연간 매출 51억 달러(약 6조6000억원)보다는 많다.
마하니는 "스레드는 광고주들이 관련 고객을 효과적으로 겨냥하고 캠페인을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 데에 매우 능숙한 회사가 소유하고 있다"며 "트위터보다 더 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스레드의 성공 여부를 아직 장담할 수는 없다는 시각도 있다.
AP는 "트위터의 거친 문화에 익숙한 사람들은 인스타그램 출신의 느긋한 이들을 자극할 수 있다"며 새 플랫폼 내에서의 문화 충돌 가능성을 지적했다.
CNN은 여러 정치인의 참여에도 불구하고 아직 스레드에는 국가 지도자급 사용자가 없다며 "스레드는 트위터의 라이벌이지만 완전한 대체제는 아닐 것"이라고 언급했다.
캐선드 증권의 애널리스트 에릭 로스는 WSJ 인터뷰에서 "트위터는 2006년 출시된 이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몰린 ‘팔러’와 같은 경쟁 소셜미디어들을 떨쳐냈고, 최근의 난관도 떨쳐낼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며 "트위터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밖에 ‘돈나무 언니’로 알려진 투자자 캐시 우드의 회사 아크 인베스트먼트는 "스레드가 트위터의 강력한 경쟁자가 될 수 있다"면서도 향후 진행 상황에 대해 판단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신중한 입장을 취하기도 했다.
한편, 스레드의 출시로 트위터가 큰 위협을 받고 있자 머스크는 최근 트위터에서 한 사용자의 게시물에 ‘저크는 약골’(Zuck is a cuck)이라고 댓글을 달았다. 저크는 저커버그의 약칭이다.
머스크는 한발 더 나아가 저커버그에게 노골적으로 "말 그대로 성기(Dick) 크기 대결을 제안한다"면서 자 모양의 이모티콘까지 붙였다. 두 CEO 간의 자존심 대결은 저커버그가 트위터를 겨냥한 소셜미디어 스레드를 새로 출시하면서 격해지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