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하늘

yhn7704@ekn.kr

윤하늘기자 기사모음




'얼어 붙는' 탄소배출권 ETF, 단기 상승 여력 안보인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6.27 15:50
2022113001001443000061381

▲탄소배출권 상장지수펀드(ETF)가 급격한 조정기를 맞았다. 사진은 한국거래소 직원이 탄소배출권 거래시장 현황을 지켜보는 모습. 사진제공=한국거래소


[에너지경제신문=윤하늘 기자] 탄소배출권 상장지수펀드(ETF)가 올해 초 글로벌 친환경 규제 강화 등의 영향을 받아 급등세를 보였지만, 급격한 조정기를 맞았다. 에너지 가격 하락과 정책 마련 부재, 경기 침체 탓이다. 증권가에서는 탄소배출권은 성장기에 불과한 만큼 기대감으로 투자하기 보다는 중장기적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신한자산운용의 ‘SOL 유럽탄소배출권선물S&P(H) ETF‘는 최근 5거래일 간 8.06% 급락했다. 이 ETF는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유럽 탄소배출권 12월물 가격을 90%를 담고 있다. 유럽 탄소배출권 시장은 전세계 거래량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같은 기간 삼성자산운용의 ’KODEX 유럽탄소배출권선물ICE(H) ETF‘도 7.89% 떨어졌다. 해당 상품은 영국 ICE선물거래소에 상장된 유럽탄소배출권 선물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ICE EUA Carbon Futures Index ER’을 기초지수로 하며, 유럽 ICE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유럽연합 탄소배출권(EUA)의 가장 가까운 12월물 선물가격을 추종한다.

NH아문디자산운용의 ‘HANARO 글로벌탄소배출권선물ICE(합성) ETF’도 5거래일 간 6.87% 빠졌다. 이 ETF는 글로벌 탄소배출권 선물 3개 종목, 5개 종목에 투자한다.

탄소배출권은 기업이 일정 배출권 범위 내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다. 정부에서는 매년 배출 허용량을 설정하고 기업에게 탄소배출권을 지급한다. 각 기업은 할당량에 따라 탄소를 배출해야하는데 이를 넘기면 탄소배출권을 사 탄소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해야 한다.

최근 탄소배출권 ETF의 움직임은 1분기와 비교해 전혀 다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최근 에너지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탄소배출권 수요도 줄어들면서다. 경기 침체로 인해 제조업 활동이 줄어들고 있는 점도 탄소배출권량 감소에 영향을 끼쳤다.

정책의 부재도 악영향 요소다. EU(유럽연합)의 탄소국경세(CBAM)가 4월 유럽의회서 최종 승인돼 올 10월 발효될 예정이지만, 이미 선반영된 상태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국내 배출권 거래 제도 활성화가 부진하면서 투심이 줄어든 이유도 있다. 실제 유럽탄소배출권 값은 톤당 80유로 수준으로 올 2월과 4월 100유로에 달했던 것과 비교해 20유로나 줄었다.

탄소배출권값에 대한 급격한 조정이 이뤄지자, 인버스형 탄소배출권 ETF도 나왔다. 신한자산운용은 20일 유가증권시장에 ‘SOL 유럽 탄소배출권 선물 인버스 ICE(H)를 상장했다. 유럽 탄소배출권 가격의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는 상품으로 유럽 탄소배출권의 가격이 하락할 때 ETF 주당 가격이 상승하는 구조다. 이 ETF는 상장 이후 현재까지 7.07%의 수익률을 올리고 있다.

탄소배출권 ETF는 단기간 조정기를 거칠 것으로 예상된다. 박수민 신한자산운용 유럽 탄소배출권값은 최근 70~100유로 안에서 움직이고 있어 하락과 상승요인이 혼재돼 있다"며 "단기간 급등한 만큼 하락할 수 있는 구간에 진입한 만큼 선별적으로 투자해 효과적인 대응을 해야한다"고 분석했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탄소배출권 시장 자체가 확대될 수 있어 중장기 분할매수 전략은 유효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강송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탄소배출권 ETF는 분산 투자 효과도 얻을 수 있어 가격 조정이 올 때마다 분할로 접근하는 것도 좋다"며 "장기적으로 봤을 때 탄수배출권 거래제도 확대와 정책 강화, 공급 감소 등이 나타나면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yhn770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