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시공사, 김형배 SF 시리즈 첫 복간…와디즈 오픈 동시 펀딩 성공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6.24 08:00
시공사, 김형배 SF 시리즈 첫 복간…와디즈 오픈 동시 펀딩 성

▲시공사, 김형배 SF 시리즈 첫 복간…와디즈 오픈 동시 펀딩 성공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시공사의 ‘김형배 SF 시리즈 특별선’이 크라우드 펀딩 오픈과 동시에 목표 금액을 훌쩍 넘기며 성공적으로 복간됐다.

시공사는 김형배 작가의 SF 걸작 시리즈 △천공의 메신저(1986) △최후의 바탈리온(1984) △전자인간 337(1979)을 복간했다.

회사는 국내 최대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와디즈에서 김형배 SF 시리즈 특별선 펀딩을 진행, 목표 금액의 445% 수준인 누적 2226만4000원을 달성하며 복간을 확정했다. 이를 통해 추억 속으로 사라질 뻔했던 대한민국 SF 만화계의 걸작을 다시 만화책으로 만날 수 있게 됐다.

37년만에 단행본 처음 출간되는 천공의 메신저 시리즈는 1986년 ‘보물섬’ 연재작이다. 작가가 원고를 갖고 있어서 더 선명하게 복원을 진행할 수 있었다고 전해진다. 최후의 바탈리온, 전자인간 337 시리즈는 당시 원고가 남아 있지 않아 원형 그대로의 레트로 감성은 살리면서 더 세련되고 높은 퀄리티로 복간하기 위해 초판본 도서를 직접 수배, 복원 작업을 진행한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고 시공사는 설명했다.

김형배 작가는 1970~90년대 왕성하게 활동한 원로 만화가다. 당시 우리나라에서는 생소했던 ‘SF’를 소재로 특유의 세련된 그림체와 탄탄한 스토리라인을 선보이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1974년 만화 ‘기타이야기’로 데뷔했다. 1976년 ‘로보트 태권브이’가 전국에서 대히트를 한 뒤 영화의 각색본 제작에 참여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1977년 ‘로보트 태권브이와 황금날개 시리즈’ △1978년 ‘20세기 기사단’ △1984년 ‘최후의 바탈리온’ △1986년 ‘천공의 메신저’, ‘투이호와 블루스’ △1988년 ‘헬로팝’ △1991년 ‘사과나무’ △1992년 ‘녹색의 청춘’ △1993년 ‘사이공에서 하노이까지’, ‘황색탄환’ 등이 있다. 또 문화를 사랑하고 탐구한 기록으로 △‘만화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온유당전서’ △‘경복궁’ △‘우키요에와 망가적 미형의 기원’ 등이 있다.

사단법인 우리만화연대 회장, SICAF조직위원장, 순천대학교 석좌교수,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이사장, 부천국제만화축제 운영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시공사는 마블·DC 코믹스 및 해외 그래픽노블 작품을 국내에 꾸준히 선보이고 있다. 이미라 작가, 강경옥 작가 등 국내 순수 만화도 다수 펴낸 노하우를 바탕으로 1970년대부터 한 시대를 풍미했던 원로 만화가들의 작품을 ‘전설의 만화 시리즈’로 선보이고 있다.




ye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