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인근의 월스트리트 거리표지판.연합뉴스 |
연합뉴스에 따르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2일 최근 몇 년간 최고위 경영진을 제외한 은행 임원들의 평균 연봉이 주식 보너스를 합쳐도 100만∼200만달러(약 13억∼26억원) 사이라고 전했다.
금융 컨설팅회사 베이스트리트 어드바이저는 ‘톱20’ 투자은행에서 부문장급이 아닌 일반 상무이사들의 최근 3년간 평균 연봉을 190만달러(약 25억만원)로 집계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과 똑같은 수준이다. 특히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지 않은 수치라는 점에서 실제로는 급여가 줄어든 것이나 다름없다.
은행가들을 추월한 직종은 변호사다. 최고 수준 로펌에서 지분을 가진 파트너들이 버는 돈은 연 300만달러(약 39억원) 이상으로 20년 전보다 3배 이상 급증했다.
왁텔, 커클랜드, 폴와이스 등 뉴욕 최고의 로펌에 다니는 엘리트 변호사는 연봉이 1500만달러(약 195억원) 이상이다.
이런 변호사의 법률 조언을 받으려면 시간당 2000달러(약 260만원) 이상을 내야 한다.
스콧 바셰이(폴와이스)나 제임스 스프레이리건(커클랜드)과 같은 월가 스타 변호사들은 2000만달러(약 260억원) 이상을 버는 경우도 있다. 미 최대 은행 JP모건체이스를 이끄는 ‘월가의 왕’ 제이미 다이먼(3450만달러)과도 큰 차이가 안 나는 셈이다.
그러나 변호사들이 아무런 대가 없이 거액을 손에 쥐는 것은 아니다. 거의 주 7일, 하루 24시간 쉴새없이 일해야 하기 때문이다.
신문은 은행가 주머니에서 변호사 주머니로 이동하는 월가 돈에 오늘날 변호사들이 거의 은행가의 역할을 겸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규제당국과의 갈등, 회사 승계 계획과 같은 까다로운 문제에 변호사들이 핵심적인 자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연공서열뿐 아니라 생산성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바뀐 최근 로펌들 급여 체계도 인재 확보 경쟁을 치열하게 해 변호사 연봉 급증 배경으로 꼽힌다.
kjuit@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