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4일경 벌어진 5개 종목 하한가 사태의 원인을 두고 강모 소장과 증권사 간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사진=픽사베이 |
[에너지경제신문=성우창 기자] 최근 벌어진 5개 종목 하한가 사태의 원인을 두고 치열한 진실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당초 사태의 주범으로 지목받았던 모 카페 운영자 강씨는 증권사의 갑작스러운 신용거래 정지 조치로 대규모 매물이 나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증권사 측에서는 금융투자협회에서 마련된 규정하에 통상적인 업무였을 뿐이라며 황당해하는 모습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씨 측은 오랜 기간 문제없이 신용거래가 이뤄지던 종목이 갑자기 정지 대상으로 분류된 이유를 납득할 수 없다며 재반박에 나서는 등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달 14일 동시에 하한가 사태를 맞은 동일산업, 대한방직, 방림, 동일금속, 만호제강 등 5개 종목은 현재 주요 증권사 대부분으로부터 신용거래 불가 정지 처분을 받은 상태다. 신용거래란 투자자가 증권사로부터 융자 또는 대주를 받아 거래하는 것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미래에셋증권은 동일산업, 대한방직, 방림, 동일금속에 대해 지난달 15일 신용거래 불가 종목으로 지정했다. 이 종목들은 한국투자증권이 이미 4월 28일에 조치한 바 있다. 만호제강에 대해서는 양사 모두 5월 17일에 신용거래 불가 정지 종목으로 분류했다.
이후 5개 종목에 대한 하한가 사태가 발생하자, 그 배후로 모 투자 카페 운영자 강모 소장이 주범이라는 의혹을 받은 바 있다. 5개 종목은 강씨가 적극적으로 소액주주운동을 펼치며 매입하던 종목들이기 때문이다.
강씨는 "국내 증시 환경상 소액주주운동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의결권 확보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신용거래 등 과도하고 무모할 정도의 레버리지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으며, 이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주가 상승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또한 강씨는 증권사들의 신용거래 중단이 하한가 사태를 불러일으킨 것이라며 의혹을 부정했다. 신용거래를 중단할 경우 기존에 신용매수를 한 주식들까지 대출 연장이 안 되기 때문에 부담을 느낀 투자자들이 대량의 매물을 출회했다는 취지다.
실제로 증권가에 따르면 최근 국내 주요 증권사들이 지정한 신용거래 불가 종목 수는 평균 약 1500곳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신용거래가 막힐 경우 투자자가 매도하지 않더라도 기한 내 차입금을 갚지 못할 경우 반대매매가 일어나기 때문에, 이에 일부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주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는 불만이 나온다. 사기업인 증권사가 신용거래 불가 지정으로 투자 손실이 일어나는 것은 부당하다는 지적도 있다.
이에 대해 증권업계에서는 ‘억지 주장’이라며 황당해하고 있다. 신용거래 불가 종목 지정은 금융투자협회에서 마련한 ‘리스크관리 모범규준’에 따라 지정하는 것이고, 그 숫자도 최근 특별히 늘어나거나 줄어든 적이 없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금투협의 리스크관리 모범규준에 따르면, 특정 주식 종목의 주가 변동성, 신용거래 융자 비중, 기타 시장정보 등 요인이 발생했을 때 증권사는 종목선정위원회를 구성해 신용거래 불가 종목을 선정하고 홈페이지 등에 고객에게 공지하도록 하고 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신용거래 불가 정지 조치를 했더라도 추후 얼마든지 정지를 풀 수 있다"며 "단지 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정해진 기준에 따라 취급하는 것이고, 누구나 알만한 유수의 우량기업도 신용거래 불가 종목에 다수 포함됐다"고 밝혔다.
또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애초에 증권사의 신용대출에서 무조건 만기 연장을 해줘야 한다는 의무는 없다"며 "신용거래로 벌어들이는 수익을 생각했을 때 증권사는 오히려 신용거래 정지를 안 하는 쪽이 이득"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씨 측은 쉽게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지난 4월 라덕연 일당의 주가조작 사태에 놀란 증권사들이 ‘투자자 보호’라는 미명하에 지나치게 엄격한 조치를 실시했다는 것이다. 강씨 측에 따르면 5개 종목은 과거 10년 이상 신용거래 시 문제가 없었고, 증권사 측에서 금리 우대까지 해주며 신용거래를 장려했다고 말한다.
강씨는 "해당 종목들에 대한 신용거래정지 조치는 통상적으로 진행하던 증권사의 정기 변경에 의해 이뤄진 것도 아니다"라며 "일선 프라이빗뱅커(PB)들이 해당 종목들은 우량주들이고, 주주운동에 따른 주가 상승이라고 항변해도 증권사 측에서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전했다.
su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