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미국 경기침체가 2024 대선 풍향계?…바이든 재선에 유리한 시나리오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6.19 11:33
epaselect USA BIDEN CAMPAIGN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사진=EPA/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2024년 미국 대선이 1년 5개월 가량 남은 가운데 경제가 침체되는 시기에 따라 선거 결과가 좌우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으로 미국 경기침체가 예고된 상황에서 침체가 빨리 발생할수록 재선을 노리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에겐 ‘불황을 극복한 대통령’이란 성과가 부각될 수 있기 때문이다.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경기 침체가 발생했던 시기가 전임 대통령들의 재선 여부를 결정지었던 요인 중 하나로 분석됐다. 리처드 닉슨, 로널드 리건,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들은 다음 선거가 치러지기 전 침체를 미리 극복해 연임에 성공했다는 설명이다. 반면 지미 카터, 조지 H.W. 부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들의 경우 유권자들이 투표를 하는 시점에서도 불황이 지속돼 차기 대선에서 패배했다는 지적이다.

2024년에 치러질 대통령 선거에서 아직 집권 민주당과 공화당 모두 후보를 확정하지는 않았지만 바이든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대결 가능성이 부상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출사표를 먼저 던졌고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4월 재선 도전을 공식화하면서 전·현직 대통령의 ‘리턴매치’에 시동이 본격 걸린 상황이다.

여론조사에서도 두 사람이 각각의 당내에서 독보적인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다.

미 퀴니피액대학이 이달초 미 전역의 등록 유권자 1929명을 상대로 조사해 최근 공개한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공화당 지지층 및 공화당 성향 유권자 53%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같은 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층과 민주 성향 유권자 70%는 바이든 대통령이 다음 대선에 출마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런 와중에 미국 경기 침체 가능성이 유력시되는 분위기다. 블룸버그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향후 12개월 이내 경제가 침체될 확률을 65%로 제시했는데 이는 지난해 같은 조사에서 나왔던 확률인 31%보다 약 두배 높다. 미 국채시장 참가자들은 내년에 경기 침체 가능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미국 경기침체가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만큼 바이든 대통령 입장에선 불황이 빨리 발생하는 것이 재선에 유리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미국 밴더빌트대학교 래리 바텔스 정치경제 교수는 "과거 기록을 봤을 때 2024년 상반기보다 올 하반기 경기침체가 바이든 대통령의 재선 가도에 타격을 덜 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020년 대선 당시 여론조사 요원으로 활동했던 셀린다 레이크는 "투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절대적인 성장률이 아닌, 선거일 6개월 전부터의 경제 흐름"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그러나 미국 경제가 완만한 침체를 겪을 가능성에만 성립되는 시나리오다.

블룸버그는 "현재 정의되는 경기침체는 통상 10개월 지속되기 때문에 불황이 빠르고 짧게 다가올 수록 바이든 대통령에게 회복의 기반을 되찾을 시간을 줄 것"이라며 길고 심각한 침체는 바이든 대통령을 재선에 실패한 대통령 중 한 명으로 만들 수 있다고 전했다.

일각에선 유권자들이 중간 선거 이후부터 대통령의 경제적 성과에 관심을 기울인다는 관측이 나왔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캠퍼스의 크리스토퍼 웰젠 정치 이코노미스트는 "유권자들은 근시안적인 성향을 갖고 있다"며 "이들은 먼 과거를 들여다보지는 않지만 2년 전에 일어났던 일은 살펴본다"고 말했다.

이게 사실일 경우 바이든 대통령은 이미 위험한 수준에 와있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실제 미국 중간선거가 치러졌던 2022년에는 미국에서 40년 내 최악의 인플레이션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율은 임기 후 처음으로 30%대로 추락했다. 로이터통신과 입소스 공동 여론조사를 보면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율은 지난해 5월 36%까지 떨어졌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7일 노조를 찾아 내년 대선을 앞두고 처음으로 유세에 나섰다. 그는 이 자리에서 자신의 경제 성과와 함께 ‘메이든 인 아메리카(미국 제조)’ 정책을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