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10분 충전으로 1200㎞"…도요타, 2027년 전고체 배터리차 실용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6.13 14:24
5

▲도요타의 전고체 배터리 시제품(사진=도요타)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업계 1위 일본 도요타자동차가 2027년에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하고 이를 탑재한 전기자동차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도요타는 글로벌 전기차 경쟁에서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전고체 배터리를 통해 시장에 지각변동을 일으킬지 주목된다.

13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도요타는 시즈오카현 연구소에서 기술설명회를 열고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도요타는 전고체 배터리의 내구성 과제를 극복했다며 전기차 탑재 시기를 2027∼2028년으로 제시했다.

도요타 최고기술책임자(CTO)인 나카지마 히로키 부사장은 "좋은 재료가 발견됐다. 세계에서 뒤지지 않고 반드시 실용화하겠다"고 말했다.

전고체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을 기존 액체에서 고체로 대체해 안전성과 성능 면에서 진일보한 차세대 배터리다.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고 화재나 폭발 위험성이 작다는 장점이 있어 일명 ‘꿈의 배터리’로 불린다. 전고체 배터리는 10분 이하 충전으로 1200㎞를 달릴 수 있어 주행 거리가 현재 출시된 전기차의 2.4배로 늘어나게 된다.

도요타는 또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에 앞서 있어 관련 특허를 1000개 이상 갖고 있다. 또 2020년 세계 최초로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으로 시험 주행했다.

도요타가 전고체 배터리를 실용화하면 전기차 시장의 판세를 바꿀 가능성이 있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일반적으로 충전 가능 횟수가 수십 번이나 수백 번밖에 되지 않아 실용화하기 위해 필요한 수천 번 이상에 못 미친다.

높은 가격 또한 부담이다. 일본 과학기술진흥기구는 전고체 배터리 제조 비용이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425배나 높은 것으로 추산했다.

이에 따라 실용화 초기 단계에서는 고급 차 등 일부 차종에 한정된 형태로 탑재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도요타 이외에 닛산자동차도 오는 2028년까지 자체 개발한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를 시장에 투입할 계획을 세웠다. 독일 BMW는 2025년까지 전고체 배터리 실증 차량을 공개하고 2030년까지 양산할 계획이다.

한편,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나카지마 부사장은 이날 기술성명회에서 도요타가 2026년까지 전기차 판매량을 늘리겠다는 목표를 재확인했다. 도요타는 2026년까지 10개의 전기차를 출시하고 생산량 또한 연간 150만대, 2030년에는 350만대로 늘릴 계획이다.

업계에서도 긍정정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일본 SBI의 엔도 코지 이사는 "도요타가 전기차 생산량을 매년 50만대씩 늘릴 수 있을지 많은 사람들이 의심했었다"며 "하지만 연구소에 간 이후, 대부분의 애널리스트는 이제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