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전(사진=AFP/연합) |
4일 세계원자력협회(WNA)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세계에서 가동 중인 원전은 총 436기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93기(설비용량 9만5835MW)로 가장 많았고, 프랑스 56기(6만1370MW), 중국 55기(5만3286MW), 러시아 37기(2만7727MW), 일본 33기(3만1679MW), 한국 25기(2만4489MW) 등이 뒤를 이었다.
중국은 프랑스보다 가동 중인 원전이 1기 적지만, 신규 원전 건설 규모를 고려하면 조만간 프랑스를 제칠 전망이다.
세계에서 건설 중인 원전은 총 59기로 집계돼는데 이 중 중국에서 40%에 육박하는 23기가 건설 중인 반면 프랑스에서 건설 중인 원전은 고작 1기다.
신규 원전 건설 규모에서 중국은 인도(8기), 터키(4기), 한국(3기), 러시아(3기), 이집트(3기) 등 원전 건설이 상대적으로 활발한 다른 나라들을 압도했다.
당국 승인이 나왔거나 자금 확보 방안이 확정돼 15년 내 운영이 가능성이 큰 건설 예정 원전까지 더하면 중국의 원전 확대 추세는 더욱 선명하다.
건설 중인 원전과 별개로 세계적으로 건설 예정 원전은 모두 100기로, 이 중 중국이 추진하는 것이 절반 가까운 45기에 달한다.
세계에서 원자력 발전 규모가 가장 큰 미국은 현재 1기의 원전을 건설 중이고, 3기를 추가로 건설할 계획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이 건설 중이거나 건설할 계획인 원전을 합치면 모두 68기다. 이 같은 추세라면 중국은 미국을 제치고 세계에서 원전을 가장 많이 가동하는 나라가 될 수도 있다.
중국이 이처럼 적극적으로 원전을 확대하는 것은 심각한 대기 오염을 낳는 석탄 에너지 의존을 줄이기 위해서다. 중국 전체 전력 중 약 60%가 석탄을 태우는 화력발전소에서 만들어진다.
WNA는 "오래된 석탄 발전소에 대한 과도한 의존 때문에 중국의 전력 생산은 대기 오염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며 "이는 세계 최대 탄소 배출국인 중국이 원전 비중을 높이려는 강력한 이유가 된다"고 밝혔다.
원전 확대에도 중국의 전체 전력 중 원전 생산 전력이 차지한 비중은 2021년 기준 아직 5% 수준으로, 프랑스(69%), 스웨덴(31%), 한국(28%), 영국(15%), 독일(12%), 일본(7%) 등보다는 낮은 편이다.
중국 정부는 2021년 3월 공개한 ‘14차 5개년 계획’(14·5계획)에서 2020년 말 51GW(기가와트)인 원전 설비용량을 2025년 말까지 70GW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중국 핵에너지산업협회(CNEA)는 지난 2015년 보고서에서 원전 생산 전력 비중이 2030년 10%, 2050년 15%까지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급속히 증가하는 중국의 원전은 한국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중국의 동부 연안에 몰려 있다.
광둥성 다야완(大亞灣)·링아오(嶺澳) 등 한국과 거리가 먼 중국의 남부 지역을 제외하고도 장쑤성 톈완(田灣), 산둥성 하이양(海陽), 랴오닝성 훙옌허(紅沿河) 등 한국과 가까운 지역에 원전이 들어서고 있다.
한국과 가장 가까운 산둥반도 끝 스다오완(石島灣)에도 원전이 신규로 건설 중이다. 중국은 대규모 육상 원전뿐 아니라 바다에 띄우는 해상부유식 원전 개발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이에 한국과 가까운 동부 연안에 밀집한 중국 원전의 안전 문제도 중요한 이슈로 오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