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요 시장에서의 수출실적 감소의 주된 원인. 자료=중소기업중앙회 |
중소기업중앙회가 18일 발표한 ‘2023년 1분기 중소기업 수출 실태 및 전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수출 전망이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43.3%로, ‘부정적’이라는 29.9%보다 더 높게 나왔다.
중기중앙회 이번 조사는 미국·중국·일본 등 주요 10개국에 수출하는 국내 중소기업 306개사를 대상으로 한 내용이다.
이번 조사 결과에서 수출 중소기업들은 미국·중국·일본 등 3대 주요 수출국 가운데 미국(43.4%)과 일본(44.6%)으로 수출 전망이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수출이 ‘부정적’이라고 밝힌 응답률은 미국 30.9%, 일본 29.5%였다.
반면에, 중국으로 수출 전망은 ‘긍정적’(35.4%)보다는 ‘부정적’(38.4%)이 좀더 많았다. 최근 우리 정부의 미·일·중 3국 외교관계를 반영했다.
응답 중소기업들의 주요 수출전략으로는 ‘신규바이어 발굴’(55.0%)이 가장 높게 꼽혔고, △품질경쟁력 제고(20.8%) △가격경쟁력 제고(15.7%)가 뒤따랐다.
그러나, 이번 중기중앙회 조사에서 수출 중소기업들은 지난 1∼3월 1분기 주요 10개국 수출 실적이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감소했다’가 40.1%를 차지해 ‘증가했다’(31.7%)보다 더 많았다. 지난해와 ‘비숫한 수준이었다’ 응답은 28.3%였다.
1분기 수출 감소 주요 원인으로는 ‘수출국 경기침체’(60.5%)가 가장 많았고, △환율 변동(16.5%) △수출국 내수화(수입대체)에 따른 수요 감소(15.3%) △원자재 수급난·가격상승에 따른 생산 차질(11.7%) △타기업 품질·가격 경쟁력 상승(9.7%) 순으로 답했다.
이밖에, 대부분의 중소기업(90.2%)이 신규 수출국 발굴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며, 유럽으로 신규 수출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이 45.3%로 가장 많았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지난해 중소기업 수출이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지만, 최근 글로벌 수요둔화와 보호무역주의 확산,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 시행 등 수출환경의 확실성이 심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추 본부장은 "중국 시장에 부정적 전망이 우세한 만큼 수출국 다변화와 함께 신규 바이어 발굴, 품질경쟁력 제고 등을 통해 중소기업 수출경쟁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kch005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