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4일 국회에서 열린 당 의원총회에서 인사말을 위해 연단으로 가고 있다. 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윤수현 기자] 거액의 가상 화폐 투자 의혹에 휩싸인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자진 탈당을 선언한 이후 민주당 안팎으로 내홍이 격화하고 있다.
특히 ‘친이재명’(친명)계와 ‘비이재명’(비명)계 간의 계파 갈등에 다시 불이 붙었다. 비명계를 중심으로 코인 논란에 대한 지도부의 초기 대응이 부실했다며 ‘이재명 책임론’까지 거론되고 있다.
16일 정치권에 따르면 코인 논란을 계기로 한동안 잠잠했던 민주당 내 계파 갈등 양상이 재점화되는 분위기다. 민주당의 내부 갈등은 김남국 의원에 대한 국회 윤리위원회 제소 문제로 표면화됐다.
지난 14일 의원총회 결의문에 윤리위 제소 내용이 빠진 것에 대해 비명계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동시에 이 대표의 리더십에 대한 공격도 계속되면서 ‘재신임 여부’로 까지 논란이 번지고 있다.
앞서 윤리의 제소 내용 삭제와 관련해서 이 대표가 지시했다는 단독 보도가 나왔지만 민주당이 이를 공식 부인했다.
비명계인 조응천 민주당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 서 "누가 이걸(윤리위 제소 내용) 빼자고 했는지는 모른다"면서 "당 지도부의 태도가 상당히 미온적이었다는 느낌은 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보다 리더십 리스크가 더 문제"라면서 "자타공인 이 대표 최측근인 김남국 의원 의혹에 대해 제대로 맺고 끝는 것이 없었다. 김 의원이 탈당한다 했을 때 말릴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비명계인 김종민 민주당 의원도 당내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과 ‘김남국 사태’ 논란 등과 관련한 당의 대처에 대해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날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검찰탄압이다. 그리고 불법은 아니다. 당으로서는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러한 당의 반응이) 얼마나 안이한가"라며 "이런 방식으로 더했다가는 민주당 진짜 큰일 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김남국 의원이 이 대표와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고 해도 당을 위해 할 것을 해야 한다"면서 "이 대표에게 주어진 시간이 그렇게 많이 남지 않았다"고 경고의 목소리를 냈다.
당내 친명계 의원 모임인 ‘처럼회’를 해체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박지현 전 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김 의원을 비호하는 처럼회를 해체하고, 김 의원을 비호하며 처럼회를 떠받드는 극성 팬덤정치를 확실하게 끊어내달라"고 꼬집었다.
반면 친명계는 비명계의 이 같은 목소리가 ‘내부 총질’이라며 반박하고 나섰다. 친명 성향이 강한 당원을 중심으로는 김 의원 사퇴를 촉구한 박성민·이동학 전 최고위원 등을 공격하는 움직임이 보이기도 했다.
이 대표의 비서실장을 맡고 있는 천준호 민주당 의원은 14일 쇄신 의총 직후 기자들에게 "이 대표 재신임 의견이 있냐"는 질문에 대해 "의원들의 동의가 전혀 없었다"고 일축했다.
유정주 민주당 의원은 쇄신의총 이후 페이스북을 통해 "소명이 끝나기 전까지 기다리자. 사냥하지 말자, 우리끼리라도"라는 글을 게재했다.
황운하 민주당 의원도 페이스북을 통해 "검찰이 사냥감을 정한 후 게임을 하듯 수사권을 남용하고 특정 언론과 협잡해 프레임을 짜서 한 사람을 공격하면 그 대상이 된 사람은 패가망신을 피할 방도가 없다"고 단언했다.
양의원영 의원도 같은 날 SNS를 통해 "이 대표가 재신임을 받아야 한다고? (비명계가) 본색을 드러내는군요"라면서 "그동안 무슨 일을 하셨다고 그런 말씀을 하시나"라며 날을 세웠다.
‘개딸’ 등 강성 지지층도 당 청원 게시판과 이 대표 커뮤니티인 ‘재명이네 마을’ 등을 통해 ‘김남국 응원 릴레이’와 함께 "같은 동지에게 내부총질을 일삼는 정치인들을 규탄한다"며 김 의원 엄호에 나서면서 비명계와 친명계의 갈등은 지속될 전망이다.
ys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