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 |
이 의원은 9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주식을 팔아 코인을 샀다는 김 의원 해명에 "사실 주식을 팔았다면 주식이 감소하고 예금이 늘었을 것이고 그걸 가지고 코인 투자를 했다면 예금이 감소해야 된다"며 "그런데 감소할 때 얼마짜리를 언제 샀는지가 빠져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바로 거기서 연결고리가 끊어져 있다. (김 의원이) 저 부분에 대한 해명을 명확하게 해야 된다"고 촉구했다.
이 의원은 특히 "제가 주목하는 부분은 금융정보분석원(FIU)에서 (김 의원 코인 거래를) 이상거래로 탐지했다는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보통 현금 거래를 많이 하면 거래 내역을 보고 자금 세탁 가능성이 있다고 통보하게 돼 있다"며 "보통 은행에 현금 1000만 원 이상을 인출 몇 번 해버리면 신고해버린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김 의원 계좌에서) 1000만 원 이상 현금이 계속 인출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FIU가 검찰로 신고할 때는 코인 대량거래 뿐 아니라 다른 "뭔가가 있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그러면서 현금으로 되찾은 코인 투자금이 440만원밖에 없었다는 김 의원 해명에도 "앞뒤가 전혀 안 맞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이 의원은 또 김 의원 계좌 추적 영장이 기각된 데 대해 "영장 기각됐다 다시 발부되는 경우도 있잖나"라며 당내 돈 봉투 의혹 핵심 당사자 강래구씨 사례를 들었다.
그는 "그것도 보면 증거라든지 여러 가지 추적을 한 결과로서 처음에는 증거 인멸의 우려가 없다고 했지만 나중에 다른 보강 자료에 의해서 (영장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김 의원이 집중 투자한 것으로 알려진 위믹스 코인에 대해서는 "일종의 게임 머니를 암호화폐로 만든 것"이라며 "(발행사가) 공시도 제대로 하지 않은 불투명한 회사였다. 이렇게 불투명한 회사는 절대 투자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코인 투자 자체가 불법이 아니고 투자금 출처만 투명하다면 문제 없다’는 김 의원 입장에도 "정치인으로서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법적 책임도 있지만 정치적 책임도 있다"며 "이 사안의 경우 코인 투자에서 큰 변동성으로 인해 수많은 젊은이들이 손실을 봤다. (청년들이) 얼마나 좌절을 겪었겠나"라고 질타했다.
이어 "그런 사람들의 아픔에 대해서 공감하지 않은 채 ‘법적으로 문제 없는데 무슨 일이야’ 그러려면 정치인의 자세가 아니라고 본다"며 "투자자들을 어떻게 보호할지, 제도를 어떻게 정비해 정상화시켜야 될지를 봐야 되는 사람이 정치인"이라고 강조했다.
hg3to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