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강세민

semin3824@ekn.kr

강세민기자 기사모음




이복조 부산시의원 "노후 ‘강변하수처리장’ 밀폐구조 전환 촉구"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4.27 12:38
이복조 부산시의원 “노후 ‘강변하수처리장’ 밀폐구조 전환

▲이복조 부산시의원이 지난 24일 제313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시정질문을 하고 있다. 사진=부산시의회 홈페이지 갈무리 화면.

[부산=에너지경제신문 강세민 기자] 이복조 부산시의원(사하구4, 국민의힘)이 지난 21일 부산시의회 제313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내용연수가 지난 ‘강변하수처리장’의 현대화 사업을 통해 악취저감 및 상부 토지 활용방안을 마련해 줄 것을 촉구한 발언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복조 의원이 언급한 사하구 신평동에 위치한 ‘강변하수처리장’은 시설용량 45만 톤으로(1단계: 27만1000 톤, 2단계: 17만9000 톤), 1990년 1단계 준공 이후 북구, 사하구, 사상구 전역과 서구 일부지역(총 45.3㎢)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처리하고 있는 대형 하수처리시설이다.

2019년 환경부에서 발간한 ‘공공하수처리시설 노후화 실태평가 및 개선 타당성 조사 연구’에 따르면, 내용연수가 30년이 지난 시설은 현대화 사업 타당성 검토대상으로 분류되는데 부산에는 수영 1, 2단계와 강변 1단계가 그 대상이다.

이복조 의원은 이날 시정 질의에서 "‘강변하수처리장’은 전국에 위치한 크고 작은 하수처리장 4281개소 가운데 21번째로 오래된 시설이면서도, 반입하수량은 11번째로 높아 중요도가 아주 높다"고 지적하면서, "특히 대규모 사업장 중에서도 BOD(생화학적 산소요구량)나 COD(화학적 산소요구량) 같은 유입물질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곳이다. 그만큼 중요한 시설이고 관리를 잘해야 하는 곳"이라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2019년 환경부 용역에서 검토한 자료를 보면 ‘수영’과 ‘강변’ 모두 노후화 개선 타당성 평가대상이고, 평가결과도 비슷하거나 오히려 ‘강변하수처리장’이 열악한 수준"이라며, "그럼에도 ‘수영하수처리장’만 현대화 사업을 검토하는 것은 부산시가 환경시설 개선에도 자치구를 취사선택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근희 부산시 환경물정책실장은 ‘강변하수처리장’ 현대화 사업추진에 대한 부서의 의지에 대해 "1단계·2단계 분리를 해서 1단계라도 먼저 가는 것도 좋겠다는 판단하게 되었고, 이 부분에 대해서는 최대한 내부적으로 빠르게 검토해가는 것으로 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강변하수처리장’은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상태이기도 하다.

‘강변하수처리장’은 2022년 5월 상부 개방형 구조로 인한 악취방지를 위해 ‘밀폐구조’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실증사업을 실시한 바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3월 3일자 보도(부산환경공단, 환경시설 사업 시행 도중 돌연 ‘사업취소’ 논란)를 보면 부산환경공단은 실증사업의 예산을 일방적 반납해 논란을 낳기도 했다.

때문에 이 사업에 참여한 지역 업체는 수 억 원의 비용을 투입해 공사를 했지만 예산반납으로 인해 지금까지 단 한 푼의 비용도 지급 받지 못하고 있다. 부산환경공단이 업체의 시설을 무상으로 사용하고 있는 셈이다. 향후 실제 복개가 이뤄진다면 이 문제 역시 논란의 중심이 될 전망이다.

semin382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