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유승

kys@ekn.kr

김유승기자 기사모음




한국P&G "2040년까지 탄소 넷제로 이행"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4.26 08:01

원료 수급부터 폐기까지 전과정 탄소절감 평가 실천
일반가정 소비자 배출 탄소 줄이는 혁신제품도 개발

한국 P&G 기자간담회 예현숙 상무 발표

▲25일 서울 명동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 열린 2023 한국P&G 환경 지속가능성 기자간담회에서 예현숙 한국P&G ESG 리더·대외협력본부 상무가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한국P&G

[에너지경제신문 김유승 기자] 글로벌 생활용품 기업 한국 P&G가 2040년까지 실질적인 탄소배출량을 없애는 넷제로(Net Zero)를 이행하겠다고 선언하며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과정 평가(LCA)를 제시했다.

전과 정평가는 넷제로를 위해 필요한 평가 방법으로, 원료 수급부터 제조·포장·운송·사용·폐기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영향을 측정하고 평가해 개선해 나가는 것을 뜻한다.

한국P&G는 25일 서울 명동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 2023 한국P&G 환경 지속가능성 기자간담회를 열어 △글로벌 지속가능성 트렌드 △ 글로벌 소비자 인식 및 기업의 노력 △넷제로 2040을 위한 P&G의 노력 △소비자의 일상 속 실천 방안 등을 제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한국P&G ESG 리더·대외협력본부 예현숙 상무는 "P&G에서 생각하는 지속가능은 우수한 제품력을 바탕으로 환경 지속성을 소비자와 함께 만들어나가는 것"이라며 "기후 위기에 보다 실질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제품의 전과정을 바라보는 전과정평가의 관점에서 환경영향을 평가하고 노력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최근 글로벌 트렌드로 자원 고갈, 기후 변화 등 환경 문제가 떠오름에 따라 기업에서 실천할 수 있는 친환경 방안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실천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P&G는 자원과 에너지를 경제 시스템 내로 복귀 및 순환시키는 순환 경제를 실행한다는 계획이다. 제품의 재사용 및 재생산이 용이하도록 전과정을 고려해 설계하고 순환 경제를 실행할 때 탄소중립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P&G는 소비자들의 전과정평가 이해도를 높이고 가정 내 습관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현재 P&G 제품의 탄소 배출량은 전 단계 중 가정 내 소비자 사용 단계가 83.3%로 가장 높기 때문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소비자들의 탄소 배출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한다는 목표다.

P&G는 대표적인 제품 개발 사례로 ‘다우니 딥클린 세탁세제’를 제시했다. 세탁 과정에서 온수를 데울 때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찬물에도 세탁력이 우수한 세제를 개발해 온수 세탁 대비 최대 90% 전력 절감이 가능하고, 헹굼 단계를 1회 줄여도 잔여물이 남지 않아 최대 60리터의 물을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P&G는 2040년까지 모든 제조시설과 공급망에서 넷 제로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하며, 현재 전세계 99%의 제조시설에서 재생에너지 사용을 달성했다고 소개했다. 현재 79%에 이르는 재활용 가능한 소재의 제품 포장재 사용을 2030년까지 100%로 전환하고, 2030년까지 물 사용의 효율을 35% 증가시켜 연 5조 L를 재사용하겠다는 목표도 함께 밝혔다.

예현숙 상무는 "P&G는 소비자들이 매일 사용하는 생활용품을 제조하는 글로벌 기업으로서, 생활 속 작은 행동들이 어떻게 의미있는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소비자 및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