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韓 기업 70% 올해 신규채용 계획···규모는 작년과 유사"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4.20 12:00

경총 ‘2023년 신규채용 실태조사’ 결과 발표
"‘수시 채용만 실시’ 67.4%···경력직 선호 현상 뚜렷"

2023년 신규채용 계획 여부와 규모.

▲2023년 신규채용 계획 여부와 규모.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국내 기업 10개 중 8곳은 올해 직원을 신규 채용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규모는 지난해와 비슷할 전망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100인 이상 기업 500개사(응답 기업 기준)를 대상으로 ‘2023년 신규채용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 기업의 69.8%가 ‘올해 신규채용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고 20일 밝혔다.

경총에 따르면 채용 규모에 대한 답변은 ‘작년과 유사’ 67.0%, ‘작년보다 확대’ 19.2%, ‘작년보다 축소’ 13.8% 순으로 나왔다.

신규채용 계획 및 채용규모 관련 ‘계획 있음’이라는 응답이 69.8%로 가장 높았고 ‘계획 없음’이라는 응답은 17.8%, ‘신규채용 여부 미결정’이라는 응답은 12.4%였다.

채용 규모를 작년보다 확대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결원 충원’이라는 응답(35.6%)을 가장 많이 꼽았다. ‘신규투자 확대’ 28.7%, ‘우수인력 확보’ 26.7%, ‘경기회복 기대’ 5.9% 등 답도 나왔다.

신규채용 방식은 응답 기업의 67.4%가 ‘수시채용만 실시한다’고 밝혔다. 그 외 ‘정기공채와 수시채용을 병행한다’는 응답은 25.4%, ‘정기공채만 실시한다’는 응답은 7.2%로 집계됐다.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수시채용만 실시한다’는 응답 비중이 높았다고 경총은 설명했다.

올해 채용시장의 가장 큰 변화 전망에 대해 조사한 결과 ‘경력직 선호 강화’라는 응답이 53.4%, ‘수시 채용 증가’라는 응답이 47.8%로 높았다. ‘미래 신산업 관련 인재 채용 증가’ 7.8%, ‘인공지능 활용 증가’ 7.2%, ‘ESG 관련 인재 채용 증가’ 5.4% 등 의견도 있었다.

신규채용에서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58.4%가 ‘직무 관련 업무 경험‘이라고 답했다. 이어 ‘인성과 태도’ 19.6%, ‘직무 관련 전공’ 15.8%, ‘직무 관련 자격증’ 5.2%, ‘최종 학력’ 0.8% 순이었다.

경총 관계자는 "채용 과정에서 직무 경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최근 추세가 반영된 결과로 추정된다"며 "기업들도 훈련과 일경험 등 청년들이 원하는 직무역량 향상 기회를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청년고용을 응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작년 신입사원 채용기업에 ‘입사한 지 1년 안에 퇴사한 직원이 있는가’라고 설문한 결과 81.7%가 ‘있다’고 답했다. 조기 퇴사자 발생 기업에게 조기 퇴사 사유를 물은 결과 ‘직무가 적성에 안 맞아서’라는 응답이 58.0%로 가장 높았다.

임영태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채용 규모를 ‘작년보다 확대할 것’이라는 응답 비중이 작년 조사보다 줄어든 점을 고려하면 올해 고용시장 상황이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기업들이 ESG 경영 차원에서 다양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정부의 재정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ye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