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7월 27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김준현

kjh123@ekn.kr

김준현기자 기사모음




시멘트 대란에 주택건설 공사현장 '셧다운' 공포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3.29 14:13

골조공사 수도권 33개사 200개 현장 92개소 차질 중



시멘트 평균재고량 이달 들어 평시보다 절반 정도



시멘트업계 "파업 영향 및 탄소중립 목표로 제한 불가피"

2023032901001541700072511

▲최근 시멘트 출하 제한으로 건설현장 골조공사가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기사와 관계 없음. 사진=김준현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시멘트 수급 대란이 본격화되면서 건설현장에 들어오는 레미콘 반입차량이 크게 줄어들고 있다. 골조공사를 전문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업계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없어 공사에 큰 영향을 끼치는 중이다.

해빙기를 지나 본격 공사 성수기에 들어가는 4~5월에 공기가 연장되면 최악의 상황에선 아파트 입주지연까지 번질 수 있어 선제적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29일 철근콘크리트업계에 따르면 이날 기준 서울·경인·인천 철근콘크리트공사업 33개사가 공사하는 200개 건설현장에서 92개소에서 공사 자재 수급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본래 레미콘 믹서트럭은 보통 90분 이내에 건설현장에 도달해야 한다. 그러나 콘크리트의 주 원료인 시멘트(골재, 물 포함) 재고가 부족해 레미콘이 현장에 들어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김학노 철근콘크리트서경인 사용자연합회장은 "시멘트 재고량이 현장에서 원하는 수요보다 더 적어 공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대부분의 골조공사는 주택현장에 쓰이는데 공사지연 문제를 넘어 준공지연을 우려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시멘트업계에 따르면 평균 재고량이 100~120만t 정도인데 3월 기준으로 60만t 정도로 평소보다 절반 정도밖에 안 되는 실정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중소 레미콘사에서는 시멘트를 구하기 위해 웃돈을 주면서까지 구입하고 있다.

레미콘업계 관계자는 "중소 레미콘사는 반입 파워가 약하기 때문에 시멘트를 구하려고 웃돈을 주고 있다"고 토로했다.

시멘트업계도 사정은 있다. 보통 1분기에는 정기보수에 친환경 설비 확충 시기여서 출하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다만 철근콘크리트 업계에서는 이를 두고 재고관리에 대해 문제를 지적한 바 있다.

다만 시멘트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에는 지난해 화물연대 파업 등이 영향을 끼쳤고, 현장에서 콘크리트 배합 시 품질이 적합한지 현장 확인 등의 절차가 강화돼 콘크리트 사용량이 많아지며 유독 더 대란을 겪고 있다는 주장이다.

또한 ‘2050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시멘트사들이 친환경 설비투자를 단계적으로 진행하는 것도 수급 차질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시멘트업계 관계자는 "환경부담금 등이 지속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당장의 매출에 손실이 불가피함에도 친환경 설비투자를 안 할 수는 없다"고 전했다.

이같은 상황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주관하는 공공건설현장에서도 마찬가지로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공사 중단 방해 등 건설노조의 불법행위 등으로 인해 공사가 중단되고 있는데다가 자재수급까지 비상이 걸려 애를 먹고 있다는 입장이다.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현장에서 자재수급이 적기에 이뤄지지 않으면 불확실한 가격으로 인해 현장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며 "수도권은 여전히 공사가 진행되는 곳이 많아 수도권 위주로라도 시멘트업계가 재고를 늘려 현장의 안정성을 제고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고 진단했다.

한편 증권가에 따르면 시멘트 가격은 지난 2021년 7월 7만8800원에서 2022년 2월 9만2400원, 2022년 11월 10만5400원으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올해 상반기 들어서는 시멘트 가격이 10% 이상 상승할 것으로 추정됐다.

김승준 하나증권 애널리스트는 "주택건설은 원가 상승과 미분양 증가에 따른 부담으로 이익이 감소하나 시멘트는 가격 상승에 따른 이익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kjh123@ekn.kr

배너